지난 16일 박지원 원내대표가 박 전 대표를 겨냥, “대통령이 되겠다는 분이 중요 이슈에 대해 언급을 안하면서 유리한 얘기는 고개 쳐들고 말씀을 한다”며 예산안 강행처리에 대한 입장을 공개적으로 요구하면서부터다. 그는 이튿날에도 유신정권 시절 긴급조치 1호에 대한 대법원의 위헌판결을 거론하며 박 전 대표를 우회적으로 공격했다.
전병헌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21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박 전 대표가 전날 공청회에서 제시한 복지정책에 대해 “비전도 대안도 없는 속빈 강정, 빈수레형 복지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전 정책위의장은 “레토릭(수사학)에 불과한 한나라당의 선별적 복지, `말로만 복지‘ 정책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감세 정책에 대해서는 적극 동조하면서 복지재정 확충을 위한 어떤 철학이나 비전, 대안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전현희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한국형 복지’의 실체가 무엇인지 애매하며 구체적 해결책 제시가 이뤄지지 못했다”며 “박 전 대표가 새해 예산안 날치기에 대해 침묵하는 것은 예산 없는 복지 정책을 펴겠다는 것으로, 실세예산에 의해 희생된 복지예산에 대한 입장부터 밝히는 게 순서”라고 주장했다.
한편 우위영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위장복지로 대권행보가 유지되긴 힘들 것”이라고 비판했고 진보신당도 성명을 통해 “양극화, 노동문제 등 알맹이가 빠졌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