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환경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한국수자원공사 등 전국의 165개 수도사업자를 조사해 발표한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2009년 말 현재 7개 특별·광역시의 지방 상수도 보급률은 99.4%로 나타났다. 뒤이어 △도시 98.6% △읍 88.8% △면단위 농어촌 51%로 파악됐다.
지방 상수도가 아닌 지하수 등의 다른 취수원 물을 쓰는 인구는 △마을상수도(100명~2500명 사용) 133만1000명 △우물 110만2000명 △소규모급수시설(100명 미만) 63만6000명 △전용 상수도(100명 이상 수용 기숙사·요양소) 24만명으로 집계됐다.
상수도 보급률을 시도별로 살피면 서울·제주(각 100%)·부산(99.9%)·대구(99.8%)·경기(95.3%) 지역 보급률이 높았다. 반면 경북(83.5%)·충남(71.4%)·전남(73.7%) 지역 보급률은 낮았다.
전국 평균 수도요금(1㎥당)은 생산원가 761.6원의 80.1% 수준인 609.9원이다. 이는 지난 2008년(613.2원) 조사 시점에 비해 조금 떨어진 가격이다.
시도별로 보면 대전(497.6원)·광주(506.3원)·서울(514.3원) 등이 비교적 낮았으며 울산(763.1원)·전남(755.7원)·전북(750.0원)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수돗물 값이 가장 비싼 지역은 1348.5원의 강원 정선군으로 파악됐으며, 경북 군위군은 367.9원으로 가장 쌌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역 별로 수도요금에 차이가 나는 것은 취수원 개발의 용이성, 취수원과 물 공급 지역의 거리, 수돗물 생산시설 규모, 정수처리비용, 수도사업 경영능력 및 재정상태 등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방 상수도 재정상태를 반영하는 부채액은 9816억원으로 2008년(1조1253억원)보다 줄었다.
환경부는 상수도 적자가 지속되는 것에 대해 수도사업이 전적으로 지자체장 책임 아래 지방공기업으로 운영돼 국고지원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데다 공공요금 억제정책으로 생산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수도요금을 받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