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바이오전자 로직게이트 구현기술 개발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박현규 교수가 금속이온을 이용해 핵산중합효소의 비정상적인 활성을 조절하고 이를 이용해 바이오 컴퓨터를 비롯한 미래 바이오전자 분야의 핵심기술인 로직 게이트를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그동안 DNA를 새롭게 생성해 증폭시키는 핵산중합효소의 활성화는 증폭대상인 목적 DNA와 프라이머(목적 DNA가 새로운 DNA 가닥을 생성할 때 시발점 역할을 하는 짧은 가닥)의 염기쌍이 상보적으로 아데닌(A)-티민(T), 시토신(C)-구아닌(G) 식으로 짝을 이룰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알려져왔다.

박 교수는 이런 기존 개념을 뛰어넘어 수은이나 은 등 특정 금속이온이 있을 경우 T-T 및 C-C 염기쌍으로부터도 핵산중합효소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 현상을 기반으로 바이오 컴퓨터 등 초고성능 메모리를 가능하게 하는 미래 바이오전자의 핵심기술인 로직 게이트를 구현했다.

이 같은 성과는 화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12월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