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도청 내 민방위업무 담당자도 고작 3명에 불과해 인원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고양시와 파주시, 연천군 등 도내 접경지역 7개 시.군에 필요한 민방위 비상대피시설은 불과 198개소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절대 필요량 686개에 29%에 불과한 것으로 연평도 피폭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접경지역 주민들이 대피할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는 부족분 대피시설 488개소를 확보해야할 상황이나 현재 확보된 국비지원 65억여원으로 이 예산으로는 24개소 밖에 설치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현재 도의 민방위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인원은 계장을 포함해 고작 3명에 불과, 이들이 도내 전체의 민방위 업무를 총괄하기에는 무리라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이다.
이 때문에 도의 민방위 업무에 차질이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도 피폭 이후 도 민방위 업무는 재난관리과장과 계장, 직원 등이 민방위 체험교육센터 부지 물색 출장으로 고작 직원 1명만이 사무실을 지키고 있는 실정이었다.
한편 도는 나머지 대피시설 부족분 464개소를 짓기위한 국비를 정부에 꾸준히 요구키로 하고, 확보된 예산은 내년 9월말까지 접경지역 및 민통선 지역에 우선적으로 시설을 확충하는데 투입할 방침이다.
도의 한관계자는 "현재 인원으로는 도 전체 31개 시군의 민방위 업무를 담당하기에 무리가 있다"며 "향후 인원 증원이 절실하며 필요한 대피시설 확충 예산도 중앙정부에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허경태기자hkt0029@ajnews.co.kr
[ⓒ ‘한·중·영·일 4개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