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기획재정부, 농림수산식품부, 중소기업청 등에 따르면 정부는 새해부터 물가를 안정시키고 영세상인들을 보호하는 데 공동구매를 적극 활용하기로 하고 공동구매 규모를 대폭 늘릴 계획이다.
먼저 정부는 물가, 특히 농수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 ‘농수산물유통공사 사이버거래소(이하 사이버거래소)’ 를 통한 농수산물 인터넷 공동구매를 확대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달에 이런 내용이 포함된 종합적인 물가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사이버거래소를 통해 공동구매가 이뤄진 품목은 배추, 무, 마늘, 양파 등 7-8개 정도로 매출액은 36억원 정도이다.
정부는 올해엔 사이버거래소 공동구매 품목을 20개 정도로, 매출액은 500억원 정도로 늘릴 계획이다.
정부는 사이버거래소 공동구매를 통해 해당 품목을 시중가보다 10% 정도 싸게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가 이렇게 농수산물 가격 안정에 힘을 쏟는 이유는 농수산물 가격 폭등이 전체적인 물가불안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31일 발표한 ‘2010년 12월 및 연평균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2010년 연평균 소비자물가는 전년에 비해 2.9% 상승해 전체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나타냈다.
이 중 공업제품은 전년보다 3.1%, 서비스는 1.9% 상승하는 데 그친 반면 농축수산물은 10%나 상승했다.
특히 농축수산물 중 대표적인 장바구니 물가인 배추는 80.8%, 무는 98.1%, 파는 67.8%나 폭등해 서민들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전체적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더라도 농수산물 물가, 특히 장바구니 물가를 안정시키지 못하면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결코 안정될 수 없다고 보고 관련 대책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또한 정부는 올해부터 영세상인들을 위한 공동구매 사업을 본격 실시한다는 방침을 굳히고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 한국체인사업협동조합 등 사업자단체와 막바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공동구매 품목은 최대한 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품목으로 정하고 최대한 많은 영세상인들이 공동구매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올해 공동구매 사업 규모는 2400억원인데 정부는 결과가 좋으면 이 규모를 오는 2014년에는 7000억원으로까지 늘릴 계획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공동구매 사업 규모가 7000억원으로 늘어나면 10% 정도의 가격인하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며 “공동구매 사업이 잘 되면 물가안정과 영세상인 보호라는 2가지 정책 목표를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