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정국 기상도 '예측불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1-02 13: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12·31개각' 인사청문회 및 한미FTA 비준 등 쟁점 즐비<br/> 

(아주경제 장용석·차현정 기자) 신묘년 새해 정치권의 정국 기상도는 시작부터 ‘예측불허’다.
 
 2012년 총선과 대선을 눈앞에 두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여야 간에 치열한 대결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벌써부터 ‘포퓰리즘’ 대결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새해 정치일정의 가장 큰 변수는 4월 재·보궐 선거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 집권 3년간에 대한 평가 성격을 띠게 될 이번 선거의 수도권 성적표는 여야 모두에 리더십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뇌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나라당의 경우 안상수 대표 체제에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다. 안 대표는 지난해 북한의 서해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보온병 폭탄’ 해프닝과 성형수술을 하지 않은 여성에 대한 ‘자연산’ 발언 등으로 연이어 구설수에 휘말렸지만 여권 내 ‘대안 부재론’ 탓에 자리를 보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 차기 총선과 대선을 대한 민심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란 점에서 선거결과에 따라 적잖은 ‘후폭풍’이 불어올 것이란 게 여권 안팎의 관측이다.
 
 이에 대해 당내 개혁성향 초선의원모임 '민본21' 공동간사인 김성태 의원도 "(재보선까지) 안 대표의 4개월은 자신의 정치인생 30년보다 더 힘들 수 있다"고 말했다.
 
 제1야당인 민주당도 상황은 녹록치 않다. 겨우내 ‘예산 무효화’를 요구하는 장외투쟁에 동력을 쏟아 부으면서 당내 사정 또한 복잡해진 탓이다.
 
 손학규 대표는 이번 장외투쟁을 통해 취약했던 당내 입지를 상당 부분 다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여론 추이에 따라 정동영 최고위원 등 비주류 측의 ‘흔들기’는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그 첫 시험대가 4월 재·보선이 될 것이란 얘기다.
 
 이에 앞서 2월 임시국회까지는 작년 말 ‘12·31개각’에 따른 감사원장 및 국무위원 내정자들의 인사청문회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 문제 등이 여야 간 쟁점이 될 전망이다.
 
 한편 집권 4년차를 맞은 이명박 대통령은 대북관계의 질적 변화와 공정사회 실현, 서민경제 활성화 등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국정 드라이브를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