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는 종편 사업자 선정에 대해 콘텐츠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이라는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4개의 종편 사업자 선정으로 그동안 지상파 중심의 방송시장은 무한경쟁 시대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주요 신문사들의 방송시장 진출은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광고시장에 과열경쟁을 야기해 시장을 더욱 혼탁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
이미 국내 광고시장은 2007년을 기점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은 생존을 위한 광고전쟁을 불가피하게 만들 것이 뻔하다.
민주당에서 추천해 방통위에 입성한 양문석 상임위원은 방통위의 종편 사업자 선정 발표 직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4개 종편 사업자 선정은 당.정.청이 밀어불인 미디어 재앙”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새롭게 방송시장에 진출하는 종편 사업자들은 초기 자본금 문제에다 수익 확보를 위해 광고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방송 매체가 수익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공정한 보도가 가능하고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해 낼 수 있을까라는 걱정이 앞선다.
방송 관련 업계에서는 종편 사업자가 흑자를 내기 위해서는 광고 시장이 연간 1조원 이상씩 늘어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정체에 빠진 광고시장에서 매년 1조원 이상 신규 광고가 나올 가능성은 제로(0)에 가깝다. 전체 광고시장에서 TV매체 광고는 2003년 33.9%에서 2009년 20.7%로 감소했다.
종편 사업자의 등장으로 방송 광고시장은 더욱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미디어 구조조정’이 일어날 공산이 크다.
이처럼 생존을 위해 치열한 광고경쟁이 펼쳐지면 미디어들은 공정성이 아닌 수익성에 의존한 보도와 프로그램 제작에 열을 올릴 수밖에 없게 된다.
방통위는 종편사업 후속 대책으로 광고시장 확대와 콘텐츠 확대,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을 내놓고 있지만 구체적인 해법은 아직 없다.
또 광고시장 확대는 다양한 영역에서 광고를 수용하고 관련 규제를 완화한다는 것인데 이것도 실현 가능성이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게다가 방통위 내부와 정치권 일각에서 이번 종편 사업자 선정에 대해 청와대 개입설을 제기하고 있다.
이는 청와대가 종편 사업자 선정에 깊숙히 개입해 향후 언론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기 위한 정치적이고 정략적인 행위라는 지적이다.
양 위원은 청와대 개입설에 대한 구체적인 입증 자료를 확보하고 있으며 조만간 공개한다고 공언했다.
따라서 종편 사업자 선정 논란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종편 사업자로 선정된 한 매체의 관계자는 “4개의 종편 사업자가 선정된 것은 과열경쟁을 불러와 자칫 종편 선정 의미를 퇴색케 하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며 “광고와 콘텐츠 관련 구체적인 후속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올해 종편으로 시작될 미디어 빅뱅이 콘텐츠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이라는 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정부는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