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원내대표는 “작년 5월부터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와 상생 정치를 하자고 의기투합해 연말까지 국민들로부터 칭찬을 들었는데 예산안 처리 때문에 또 욕을 먹게 되었다”며 “그만큼 예산안 처리는 시간이 중요한 것 이였고 다시 대화와 타협으로 여당이 대폭 양보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최근 중국의 북한 감싸기를 두고 “중국과의 외교에 있어서 북한 문제만큼은 특수성을 감안해 이면 외교를 활발히 해야 된다”라며 “군사 외교적 문제와 완전히 분리된 경제 협력을 강화해 나가면 결국 중국은 우리를 선택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개각에 대해 “특별히 흠결이 없는 무난 인사였다고 생각하고 다들 잘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변했다.
김 대표는 구제역 확산으로 가축전염병예방법 처리를 위한 원포인트 국회에 대해 “국익적 차원에서 야당도 원포인트 국회를 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면서 “인사 청문회가 있기 때문에 청문회 채택을 하기 위해서 국회가 열릴 수 밖에 없지 않겠나”고 예상했다.
그는 이번 예산안 파동에 대해 “원인은 의사 진행을 막기 위해서 야당원들이 의석을 점거한 데서 시작된 것”이라며 “다시 상생의 정치로 정치를 복원하는 노력을 해줄 것으로 바라고, 과거처럼 모든 양보를 다해서라도 국회를 정상화시켜 놓겠다”고 다짐했다.
김 대표는 청와대 지시를 받고 예산안 강행처리를 했다는 야당 측 주장에 대해 “박 대표와 8개월 동안 같이 일하면서 모든 걸 양보하더라도 예산안 처리는 기일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해왔기 때문에 그 말은 틀린 이야기”라고 주장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와 관련, 김 대표는 “날짜가 헌법의 강행 규정으로 정해져 있는 예산안을 제외한 모두는 그동안 여야간 합의 하에 처리해 왔다”라며 “물리력을 동원하지 않겠고 FTA 문제는 무한 토론해서라도 국민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정을 밟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FTA는 우리처럼 좁은 영토에서 전세계의 약 55%에 대한 경제 영토를 확장하는 굉장히 좋은 협정”이라며 “이것을 반대한다는 것은 넌센스”라고 말했다.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개헌추진에 대해 그는 “너무 늦지 않았냐는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절대 늦지 않았다”며 “과거 5명의 대통령이 모두 마지막에 불행해지고 자기가 속한 정당으로부터 축출당하는 비극을 통해 대통령 5년 단임제가 실패란 것이 증명 되고 있다"며 개헌추진의 타당성을 밝혔다.
김 대표는 “올초부터 시작해 6월 전에 끝내야 하지만 만약 그때까지 못하면 국론 분열 일으키는 그런 문제는 더 이상 얘기하지 말고 그대로 가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