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최고위원은 이날 회견에서 “북측에서 긍정적 의사를 밝혀온다면 정부 당국과 협의해 지체 없이 방북 일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김 위원장과 만나 전쟁에 반대하고 평화를 원하는 한국 국민의 뜻을 전하고 남북간에 끊어진 대화의 다리를 놓는 데 일역을 하고자 한다”며 “‘서해 바다를 육지의 개성공단처럼 만들자’고 한 10·4 선언의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김 위원장의 북한이 끝까지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국제사회의 불신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갖고 있다”면서 “2005년 6월 17일 김 위원장이 ‘조미간의 적대관계가 해소되고 체제에 대한 안전보장이 이뤄진다면 핵을 가질 이유가 없으며 이는 김일성 주석의 유훈’이라고 한 말을 분명히 기억한다”고 전했다.
정 최고위원은 또 “북측이 원하는 북미 간 적대관계 해소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남북관계의 개선”이라며 “우선 남과 북의 신뢰부터 회복해야 하고 김 위원장이 나의 방북을 통 크게 결단한다면 남북 간 무너진 신뢰를 복원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과거 노무현 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지냈고 현재 당 남북평화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 최고위원은 지난해 12월20일 긴급 외신기자회견에서 정부에 연평도 사격 훈련 강행 중지를 촉구했다. 또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10년 전 북미 공동 코뮈니케 복원을 위한 ‘2011 오바마 프로세스’를 시작해야 한다는 내용의 공개서한을 보낸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