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11’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4G 시장을 겨냥한 LTE 스마트폰을 공개했다.
삼성전자의 ‘삼성 4G LTE 스마트폰’은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2.2버전(프로요)을 탑재, 4.3인치 슈퍼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를 적용했다.
1GHz 초고속 중앙처리장치(CPU), 800만 고화소 카메라 등 첨단 스마트폰 기능도 탑재됐다.
지난해 12월 미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미국의 이동통신사 버라이즌의 4G LTE 통신망을 지원해 최대 50 Mbps의 속도를 구현, 웹서핑,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실시간 동영상 감상 등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이 제품을 1분기 중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전략 태블릿PC ‘갤럭시탭’의 LTE 버전도 공개, 버라이즌을 통해 상반기 중 출시할 예정이다.
신종균 삼성전자 사장은 “삼성전자는 LTE 단말기, 시스템, 표준 기술 등 LTE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유일한 업체”라며 “앞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시장 주도권을 확고히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G전자도 기존 3세대 이동통신보다 최대 5배 빠른 전송속도를 구현한 LTE 스마트폰 ‘LG레볼루션’을 공개했다.
이 제품은 WVGA급(480×800) 해상도의 4.3인치 풀터치 액정표시장치(LCD)와 안드로이드 OS 2.2버전(프로요), 500만 화소 카메라 등을 탑재했고 전면에 별도 카메라가 있어 영상통화도 가능하다.
또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단자를 내장해 TV나 PC 모니터와 연결하면 대화면에서 HD급 동영상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박종석 LG전자 모바일커뮤니케이션(MC)사업본부장(부사장)은 “LTE 기술과 통신사업자들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LTE 데이터카드에 이어 스마트폰으로 제품군을 확대했다”며 “올해 개화되는 LTE 시장을 선점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