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9일 KTX 2단계 개통 후 김포-김해 노선 이용객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0.2% 증가했으나 김포-울산 노선은 35.4%, 김포-포항 노선은 13.2% 감소했다고 밝혔다.
노선별로 살펴보면 김포-울산 노선의 이용객은 11월에 비해 12월에 더 감소했으나(11월 -34.2%→12월 -36.7%) 하락추세는 안정화 경향을 보이면서 2개월 평균 35.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평균 이용객 수는 지난해에 비해 약 1000명(2852명→1841명)이 줄었으며 탑승률도 19.3%포인트(70.5%→51.2%)감소해 KTX 2단계 개통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고 국토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김포-김해 노선은 실제 운항편수의 감소(지난해 동기 대비 5.6% 감소, 3608→3408편)에도 불구하고 이용객은 0.2%(40만8736→40만9463명), 탑승률은 2.9%포인트(68.5%→71.4%) 소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객 유치를 위한 운임할인(에어부산 2010년 11월~12월, 20%할인)과 고객편의를 위한 운항스케줄 변경(매 30분마다 항공편 운항) 등 항공사들의 자구 노력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삼랑진-마산 구간의 KTX개통(2010년 12월 15일)으로 중부 경남권 항공수요 감소를 우려했지만 비즈니스 출장에 불편한 배차시간 등의 이유로 당장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국토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김포-포항 노선의 이용객은 13.2%(4만7892→4만1549명) 감소해 울산노선에 비해 KTX 개통의 영향은 적게 받고 있으나 이용객 하락세는 소폭(11월 -11.4%→12월 -1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