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청문회를 통해 또 한 번의 낙마사태가 재연된다면 향후 정국 주도권을 쥐는데 유리하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이춘석 대변인은 9일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전관예우로 문제가 되고 있는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는 부적합하다”며 “특히 현 정권과 청와대 시각 자체에 문제가 있는 인사로 이를 계속 둔다면 정국 운영 동력 떨어지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청와대 국정기조변화를 위해서라도 이번 청문회에서 최선을 다해 야당과 국민의 요구를 담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은 정 후보자가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낸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이란 점 자체가 정치적 독립을 요구하는 감사원장으로는 결격이라고 보고 내정 직후부터 줄기차게 불가론을 폈다.
지난주 정 후보가 법무법인 소속시 받은 고액의 급여를 놓고 전관예우 논란에 불을 지핀데 이어, 그의 급여가 이명박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간사위원에 선임된 2007년 12월말 이후 2배 이상 뛰었다는 의혹과 부동산 투기 의혹까지 제기하며 도덕성 문제를 건드렸다.
특히 민주당은 인수위원 선임 직후 보수인상 문제에 대해서는 “권력 실세에 대한 로비 차원의 성격이 짙다”며 법적인 하자가 없는 지도 검토에 들어간 상태다.
민주당은 이번주 정 후보자가 민정수석으로 근무할 당시 민간인 불법사찰이 이뤄졌다는 점을 집중 부각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세금 탈루 및 편법 증여 의혹이 제기된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 내정자와 고액 주유비 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에 대해서도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