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농림수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우선적으로 중소형 국제곡물기업 인수ㆍ합병(M&A) 대상을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스닥 등 해외 주식시장에 공개된 중소형 국제곡물기업을 인수하거나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30% 이상 지분을 사들이기로 한 것이다.
농식품부 고위관계자는 “공개(주식시장에 등록 또는 상장)돼 있는 회사나 비공개기업 중 내실 있는 기업을 인수 대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카길과 같은 곡물 메이저가 장악한 독과점 시장에서 곡물을 구입하던 것에서 벗어나 비교적 자율적으로 곡물 도입이 가능해져 식품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오는 13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민생물가안정 종합대책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또 다른 정부 고위 관계자는 “곡물을 그동안 해외 메이저사를 통해 사다 보니 투기적인 세력 등에 의해 국내 곡물 가격이 출렁이는 문제가 발생해 올해 민관 합동으로 미국 시카고에 곡물회사를 설립해 직도입하는 사업을 벌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미국에 설립될 국제곡물회사는 정부 산하 aT(농수산물유통공사)가 주축을 이루면서 실수요업체, 종합상사, 운송업체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가 될 예정이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곡물은 옥수수 900만t, 밀 370만t, 콩 150만t 등 총 1천420만t으로, 거의 전량을 곡물 메이저가 장악한 독과점시장을 통해 구입했다.
정부는 올해 미국에 국제곡물회사가 설립되더라도 독과점 시장에 진입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올해는 민관합동 국제곡물회사를 통해 콩과 옥수수를 각각 5만t씩 도입할 예정이다.
이후 단계적 절차를 거쳐 향후 10년 내에 전체 국내 곡물 수입량의 20~30%를 소화해 국가 곡물조달시스템을 정착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식품 물가 안정을 위해서는 신선식품 비축량을 확대하는 게 필요하다고 판단해 보리, 밀, 옥수수, 콩 등의 주요 곡물에 대해서도 쌀과 같은 공공비축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풍년이나 가격이 내려갈 때 정부가 사들였다가 가격이 급등하면 방출해 가격 및 수급을 안정시키겠다는 복안이다. 현재 정부는 보리, 옥수수, 콩 수매제를 운용하고 있으며 보리, 옥수수 수매제는 내년에 없어질 예정이다.
이외에도 농식품부와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제곡물정보협의회를 운영해 국제 곡물의 가격 및 수급 동향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필요시 적극적인 할당 관세를 통해 국내 곡물 수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