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해외 먹을거리 안정확보 대책 절실하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1-10 11: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선환·이미호 기자) 세계 식품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국내시장 먹거리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식품가격이 오르면 수입단가가 급증하고, 수입단가 증가는 이른바 ‘먹는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입선 다변화 및 자급률 확보를 통해 식량자원을 선제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곡물 식량자급률 심각

7일 관련업계 따르면 콩, 옥수수, 밀 등 3대 수입곡물은 카길, ADM, 벙기, LDC 등 4대 국제곡물메이저 회사에 대한 의존도가 평균 70%에 달해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9년 수입된 밀 가운데 60.81%가, 옥수수는 87.21%가 4대 메이저 업체에서 들어온 것으로 조사됐다.

1980년 56%를 기록했던 곡물자급률은 1990년 43.1%로 떨어진 데 이어 2000년 29.7%, 지난해에는 26.7%로 곤두박칠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1개 회원국 가운데 곡물자급률이 29위로 꼴찌 수준이다. 특히 사료용을 제외하더라도 보리와 콩, 옥수수, 밀의 자급률은 각각 44.3%, 32.5%, 4%, 0.9%로 심각한 수준이다.

곡물자급률을 포함한 식량자급률 확보도 매우 시급하다.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은 지난해 사상 최저인 51.4%로 떨어졌다. 1990년 70.5%에 달했던 자급률은 1995년 55.7%, 2000년 55.6%, 2005년 54%로 계속 내려갔다.

◆ 올해 국제 곡물 수급 불일치…선제적 확보 과제

이처럼 식량안보 수준이 불안정한 우리로서는 국제 시장에서의 곡물수급에 울고 웃어야 한다. 올해는 연초부터 비상이다. 소비행태 변화로 100% 자급이 가능한 쌀 소비량은 매년 현격히 줄어들고 있는 반면 밀과 콩, 옥수수 등 수입에 대부분을 의존해야 하는 곡물확보는 녹녹치 않은 상태다.

농수산물유통공사(aT)가 지난달 미국 농무성(USDA)의 세계곡물수급전망(WASDE)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세계 밀 생산량은 6억4650만t으로 지난해보다 무려 5.2% 급감할 것으로 전망됐다. 밀 최대 생산국인 EU(유럽연합, -1.3%)를 비롯해 중국(-0.5%), 미국(-0.4%)이 모두 줄어들지만 소비량은 오히려 지난해보다 2.3% 늘어 6억6650만t에 달할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올해 밀 재고량(1억7600만t)과 재고율이 지난해보다 각각 10.1%, 3.7% 급감할 것으로 aT는 보고 있다.

콩도 상황은 마찬가지. aT는 올해 세계 콩 생산량(2억5780만t)과 재고량이 각각 지난해보다 0.9%, 0.5%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 곡물시장에서의 가격폭등 우려는 그러잖아도 어려운 국내 물가에도 직격탄을 날리게 된다.

최지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쌀 외에 밀이나 콩, 옥수수 등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곡물의 자급기반을 확보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며 “비축사업, 자급률 확보, 거래선 구축 등 식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모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 단기수급불안 대책 방안 마련 시급

식품당국과 aT는 지난달 23일 CJ제일제당, 한진, 삼성물산, STX 등 민간기업과 손잡고 국가곡물조달시스템 구축방안을 내놓았다.

이를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지난해 국제 곡물시장 조달량(1400만t)의 30%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계획이 현실화한다면 플럭츄에이션(급등락)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국제 곡물조달가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생각하기도 싫은 지난해 배추파동 당시의 악몽은 반면교사로 삼을 만하다. 채소와는 달리 쌀이나 밀가루 등 우리 주식시장에서 수급불안으로 가격이 폭등하면 국가적인 재난상황까지 몰릴 수 있다는 데 많은 이들이 동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장기 대처방안과 별도로 단기적인 수급불안요인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응책 마련이 절실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선물시장 리스크 헤지 전문가 육성과 함께 식량안보에 대응할 수 있는 국제농업협력사업에서 그 해답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 연구위원은 “밀 같은 경우는 자급률이 겨우 1%정도로 최대 10%까지 높여야 한다”며 “식량 국가안보 차원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