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계륵 '채권추심' 악소문을 피해라"

(아주경제 방영덕 기자) 카드사들이 최근 보험압류에 따른 채권 추심 문제가 불거지자 곤혹스러운 입장이다. 본격적인 생존경쟁에 돌입하며 연체율 관리에 힘써야하지만 자칫 무리한 독촉으로 고객이탈은 물론 기업 평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10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각 카드사들은 앞으로 소액보장성보험에 대한 채권추심을 할 수 없게 된다. 채권추심 과정 중 무리한 압류로 서민들의 피해를 유발한다는 민원이 급증함에 따라 지난 5일 금융당국이 이 같은 계획을 밝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카드사는 내부적으로 이미 금융당국의 발표가 있기 전, 민원문제를 인지해 보험압류를 자제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보험압류와 관련해 내부적으로 컨센서스가 벌써 이뤄진 상태”라며 “이같은 민원이 회사 평판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음을 경험상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각 카드사들은 채권추심과정 중 불법이나 무리한 독촉 등의 행위를 통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고의로 각종 포털에 악성 글을 남기거나 집단 항의 움직임을 보일 경우 사전 통제를 위해 많은 힘을 쏟는다.
 
카드사 관계자는 “소송비용도 비용이지만 요즘처럼 인터넷을 통해 악소문이 퍼져나갈 경우 걷잡을 수 없다”며 채권추심 업무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일부 카드사에선 신용정보업체 등에 채권추심관련 업무를 아예 아웃소싱하기도 한다. 전문성을 발휘해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고객들은 아웃소싱 업체의 불법 문제도 결국 카드사의 잘못이란 생각이 만연해 긴장의 끈을 놓칠 수 없는 상황.
 
삼성카드 관계자는 “아무리 아웃소싱하더라도 불법채권 추심행위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카드사와 쌍벌규정이기 때문에 여전히 전전긍긍 할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카드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경쟁력을 키우려면 연체율 관리가 중요하다”면서도 “신용대출이다보니 은행의 담보대출과 달리 선순위에 밀려 고객의 도덕적 해이를 유발하며 더 큰 문제는 회사 평판을 고려해 채권추심에 적극 나설 수 없어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