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현탁의 유통인사이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물가

(아주경제 진현탁 기자)물가 때문에 전국 온 나라가 난리다.

지난해 말부터 불어 닥치기 시작한 물가 급등세가 새해 들어선 더욱 심상치 않다.

‘전쟁’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정부도 물가 잡기에 비상이 걸렸다.

일각에선 물가를 잡기엔 한계상황에 도달하지 않았겠느냐는 얘기도 심심치 않게 흘러나오고 있다.

한파와 폭설 등의 영향으로 배추와 무 가격이 1년 전에 비해 2~3배 이상 뛰는 등 농수산물 가격이 다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설탕 등 생필품도 설 이전 가격인상에 들어가 가계부담을 더할 전망이다.

여기에 최근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가 갈수록 거세지면서 설 선물세트와 제수용품의 단골 메뉴인 소고기와 돼지고기, 닭고기 등 육류도 최소 10% 이상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이런 물가 급등세는 무슨 이유일까.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국제 원유가와 곡물가, 원자재 가격이 치솟고 여기에 중국의 물가상승, 차이나플레이션까지 영향을 미쳐 물가압력이 가중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물가상승이 주로 대외적인 요인에서 비롯됐다는 얘기다.

정부는 11일 설 물가 대책에 이어 13일엔 물가안정 종합대책 등 각종 물가대책을 쏟아낼 예정이지만 정작 소비자들은 별 기대를 하지 않는 눈치다.

물가 급등이 대내적인 측면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대외적인 측면에서 발생한 점을 감안할 때 한계가 있지 않겠느냐 데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올 물가 상승률이 정부 목표(3%)를 훨씬 뛰어넘는 4%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과거처럼 물가를 정부가 인위적으로 짓누르는 대증요법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기업을 윽박질러 제품가격을 내린 들 이 또한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

근본적인 대책 없이 한 번 인상할 것을 두 번에 걸쳐 조금씩 올리는 걸로 바꾼 것일 뿐이라는 업계의 얘기가 설득력있게 다가온다.

정부 또한 과도하게 시장에 개입하는 비효율성도 이미 잘 알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 소비자단체가 밀가루, 원당, 오렌지주스, 화학세제 등 주요 생필품 가격을 분석한 결과 관련 메이커들이 원부자재 가격상승분에 비해 과도하게 가격인상을 했다는 내용의 자료를 13일 전후해 발표할 예정이어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분명 물가는 잡아야 한다. 장바구니 물가를 잡지 못한다면 서민들의 생활을 피폐해질 수 밖에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래서 서민들은 정부의 이번 물가안정대책에 대해 ‘기대반 우려반’의 심정으로 지켜보고 있다.

이번 물가 급등의 주원인을 철저히 따져 미봉책이 아닌 좀 더 멀리 내다보는 정책으로 사태의 실마리를 풀어야 할 시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