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레임덕' 논란 뒤로 하고 다시 '일상'으로

(아주경제 장용석 기자) 정동기 전 감사원장 후보자의 사퇴 파문으로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임기말 권력누수 현상) 논란에 휩싸였던 청와대가 하루 만에 마치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안정세를 되찾는 분위기다.

 이 대통령은 정 전 후보자 사퇴 당일인 12일 하루 종일 두문불출했으나 다음날인 13일엔 올해 첫 국민경제대책회의 주재를 시작으로 정상적인 국정운영 활동을 이어갔다. 또 낮엔 김진현 세계평화포럼 이사장 등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건립위원들을 청와대로 초청, 박물관 건립 상황과 전시물 수집 계획 등에 대해 보고받고 오찬을 함께했다.
 
 전날 청와대는 “이 대통령이 정 전 후보자 사퇴 소식을 듣고 안타까움을 나타냈다”고 전했을 뿐 구체적인 발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앞서 정 전 후보자에 대한 여당발(發) ‘비토’론이 제기된 뒤 “레임덕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잇따른 만큼 “자칫 정치적으로 민감할 수 있는 대통령 발언이 공개될 경우 그 파장을 예측키 어렵다고 판단한 것 같다”는 게 여권 관계자의 지적이다.
 
 대신 청와대는 공식·비공식적으로 정 전 후보자 사퇴 당일 이 대통령의 동선(動線) 등을 소개하며 ‘일상성’을 강조하는 데 주력했다. 세간의 지적과 달리 “정 전 후보자의 사퇴 문제는 대통령의 리더십이나 레임덕 문제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음”을 나타내기 위한 의도였던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번 ‘인사실패’ 책임자로 지목된 임태희 대통령실장의 방에도 들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현안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경우 대통령이 참모진을 집무실로 부르지, 대통령이 직접 참모진의 방을 찾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대통령은 서울시장 재임 때도 신임하는 직원들의 방을 불시에 찾곤 했다”며 “임 실장에 대한 신임이 여전함을 보여준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이 임 실장 방에 들른 사실이 알려지자 이번 인사에 관여한 일부 참모진 사이에서 흘러나오던 “우리도 그만둬야 하는 것 아니냐”는 등의 얘기도 쏙 들어갔다고 한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아무래도 집권 후반기가 집권 초에 비해 좀 불리할 순 있지만 아직 대통령 임기가 2년이나 남은 데다 국민 지지율 역시 여전히 높은 편이다”면서 “벌써부터 레임덕을 얘기하는 건 말이 안 된다. ‘일로써 보여주자’는 게 대통령의 의지이고, 앞으로도 차질 없는 국정운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여권의 다른 관계자는 “‘정동기 사태’를 통해 청와대와 당이 한 배를 타고 있다가도 언제든 어떤 식으로든 깨질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면서 “차기 총선을 앞두고 당의 정치적 생존 욕구를 대통령이나 청와대가 해결해주기 어렵다는 판단이 들면 정말 심각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 아직 상황은 끝나지 않았다”며 여전히 우려감을 나타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