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8일 각각 검증대에 오르는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이미 민주당 등 야당으로부터 적잖은 의혹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오는 27일엔 박한철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청문회도 예정돼 있다.
민주당은 지난해 ‘12·31개각’ 대상자 가운데 정동기 전 감사원장 후보자를 낙마시킨 여세를 몰아 2명의 다른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도 1일 1건씩 의혹을 제기하는 ‘가랑비 전략’을 구사해왔다.
이에 대해 정옥임 한나라당 원내대변인은 16일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이미 지난주 (이석현 의원 실언을 두고) 민주당이 어떤 당인지 객관적으로 판명된 만큼 더 이상의 의혹 부풀리기나 ‘아니면 말고’ 식 제기는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다만 정 대변인은 “‘검은 계산 속 과대 선전’이 아닌 야당의 ‘송곳 검증’은 환영한다”며 “한나라당도 이들 후보자의 도덕성과 업무수행능력, 자질 등을 꼼꼼히 들여다보겠다”고 말했다.
반면 전현희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미 두 후보자 모두 ‘4대 불법과목’ 이수자로 드러나 청와대의 인사검증시스템이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게 재확인됐다”면서 “민주당이 제기한 의혹들을 싸잡아 ‘묻지 마 폭로’로 비난하는 건 잘못이다. 우린 (후보자들을) 끝까지 철저하게 검증하겠다”고 강조했다.
17일 청문회를 받는 정 후보자는 현재 본인과 부인 명의로 소유한 경기도 양평 지역 부동산에 대한 투기의혹이 쟁점으로 거론된다.
또 최 후보자는 배우자 소유의 충북 청원군 임야와 대전 유성구 그린벨트 내 밭에 대한 투기의혹과 부동산 임대수입 탈세의혹 등을 놓고 논란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두 후보자 측은 모두 야당의 이 같은 의혹제기에 ‘사실무근’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한편 박한철 헌재 재판관 후보자에 대해선 대검찰청 공안부장 재직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에 대한 수사 등을 맡은 점과 퇴임 후 법률회사 재직 4개월간 4억여원 재산이 늘어난 점 등이 논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