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민주당 등 야당은 부동산 투기, 지역구 예산 특혜, 박사논문 표절 의혹 등을 집중적으로 파고들었다.
반면에 한나라당은 정 후보자의 답변 등에 대해 잘못된 점을 지적하는 건 피하지 않으면서도 “정치적 공세는 부적절하다”며 방어막을 쳤다.
최문순 민주당 의원은 “정 후보자 소유의 경기 양평군 개군면 부유리 77-2번지는 지목이 ‘논’으로 돼 있어 농사를 짓지 않는 사람은 소유할 수 없는데도 농사를 짓는 것처럼 허위 서류를 작성해 땅을 샀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땅의 양도시기에 대해서도 “실질적인 양도가 1995년에 이뤄졌음에도 2004년에 등기이전을 한 건 명백한 부동산실명제법 위반”이라고 정 후보자를 몰아붙였다.
그러자 정 후보자는 “그 땅은 농사를 짓던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땅”이라며 “당시 거기(실정법 위반)까지는 미처 생각 못했다. 그러나 만약 문제가 있었다면 지역구 선거를 세 번이나 치르는 과정에서 드러났을 것”이라고 맞섰다.
이에 대해 허원제 한나라당 의원은 “어떤 연유로든 실정법을 어겼다면 잘못된 것”이라면서도 “부동산실명제는 사실 투기를 막기 위해 만든 건데 정 후보자는 농민의 아들”이라며 투기 의도가 없었다고 옹호했다.
같은 당 김성동 의원도 “정 후보자는 민주화운동을 하다 (대학) 졸업 후 바로 정계로 들어와 공직자 재산등록과 여러 선거를 거치며 충분한 검증을 받았다”며 “그동안의 관행을 고민하고 되돌아보는 성찰의 기회로 삼아야지 정 후보자가 큰 위법행위를 한 것으로 몰아가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12월 예산 강행처리 과정에서 본인의 국회의원 지역구인 양평에 '남한강 예술특구조성' 사업비가 책정된 데 대한 천정배 민주당 의원의 특혜 의혹 제기에 정 후보자는 "사리사욕에 의한 게 아니라면 정당하게 (예산 확보) 주장을 제기할 수 있다고 본다. 불법은 없었다”고 잘라 말했다.
정 후보자는 아울러 최종원 민주당 의원의 2004년 성균관대 박사학위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선 “난 원전을 인용했지만 우리나라 다른 논문의 각주를 동시에 게재하지 않은 점을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며 “문제가 있다면 사과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계속된 검증공세에도 불구하고 현역 국회의원인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야당도 크게 문제 삼지 않아온 관례(?)에 비춰볼 때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은 무난하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