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이 2010년 의료기기 허가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허가된 전체 의료기기 2,219건 중 보청기가 260건(11.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치과용임플란트는 102건(4.6%), 소프트콘택트렌즈는 52건(2.3%) 순이었다고 21일 밝혔다.
우리 사회가 고령화되고 경제적 여유가 증가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요구들이 관련 의료기기에 대한 상품개발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09년도 허가현황은 보청기가 173건(1위, 7.1%), 치과용임플란트는 129건(2위, 5.3%), 소프트콘택트렌즈 29건(5위, 1.2%)이었고 국내 의료기기 총생산액(2조7,642억원) 중 이들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0.12%(2,797억원)로 나타났다.
보청기와 치과용임플란트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동안 1위와 2위를 지켜왔고 특히 보청기는 2009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2010년 의료기기 신규 제조업체 수는 239건으로 2009년에 비해 2.6%의 성장을 보인 반면 신규 수입업체 수는 149곳으로 전년 대비 5.1% 감소했다.
이는 국내 제조업체가 비교적 환율변동에서 자유로워 수입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금 더 유리한 시장 환경이 조성된 탓으로 분석된다.
또한 2010년 의료기기의 ‘제조(수입)품목변경허가’는 4,230건으로 2009년 3,981건에 비해 6.3% 증가했고 신규 허가(신고)건수는 5.9%(359건) 증가해 전반적으로 국내 의료기기업체가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음을 보여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