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대 기자. |
최근 부산 광장호텔에서 개최된 '해양수산부 부활을 위한 시민토론회'에서 민홍기 부산해기사협회장이 공개한 얘기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27일 청와대에 '4대강·보금자리주택·철도 고속교통망'에 중점을 둔 2011년도 업무보고를 했다. 하지만 '2020년 세계 5대 해양강국 도약'을 외치는 국토부의 업무보고 치고는 해양정책에 대한 부분이 터무니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해양수산 관련 업계와 협회는 올해부터 '해양수산부 부활'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며 단체행동에 들어갔다.
지난 2008년 2월 건설교통부와 해수부가 통합되면서 제기된 해양수산분야 홀대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된 것이다. 현재 국토부 조직을 살펴봐도 전체 6실 2국 중에 해양수산부서는 1실 1국(물류항만실·해양정책국) 뿐이다.
해수부 부활에 대해 한 국토부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해양수산 관련 부처가 있는 국가가 서너곳 정도 밖에 안된다”며 부정적 입장를 밝혔다. 물론 해양·수산에 대한 가치 판단은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이는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소리다.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국가의 경우, 해양·수산에 대한 가치는 국가의 생존과 직결된다. 다행히도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기술, 세계 5위권 물동량의 항만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기세에 밀려 세계 최고를 자랑하던 조선업이 위협받고, 항만물류도 중국의 추격을 받고 있다. 또 해운산업은 전자·자동차·조선 등과 함께 대표적인 외화벌이 산업임에도 평가는 그렇지 못하다.
이렇게 잠재적 가능성과 함께 위기에 놓인 해양·수산 산업을 국가 성장동력으로 키우려면 이에 걸맞는 정책은 물론 전담 부처가 필요할성 싶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