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고감도 나노광학 측정기술 개발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기훈 교수팀이 소분자 생화합물 검출을 위한 획기적인 고감도 나노광학 측정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정 교수팀은 사람 머리카락 단면적의 70만분의 1보다 작은 나노유체관 내 유동특성을 이용해 나노몰(nM) 수준의 농도를 갖는 극미량의 소분자 생화합물의 농도를 국소적으로 증가시킨 뒤 나노플라즈모닉 광학기술과 접목해 측정하는 빛의 세기를 1만배 이상 향상시켜 별도의 생화학처리를 하지 않은 도파민(Dopamine)과 가바(GABA)와 같은 신경전달물질을 1초 이내에 구별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현존 세계 최고 수준의 검출 한계를 수백배 이상 향상시킨 기술로, 이 같은 성과는 독일에서 발간되는 나노분야 국제 저명학술지인 ‘스몰(Small)’지난 17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