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는 또 지난해 8월 수능 개편시안시 발표됐던 연 2회 복수시행은 유보하고 사회·과학탐구 과목의 통폐합 안도 백지화했다.
아울러 수능을 위한 EBS교재와 강의를 개발하고 교재와의 연계율 역시 70% 연계율을 계속 유지할 예정이다.
26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방관은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2014학년도 수능시험 개편 방안'을 확정·발표했다.
교과부는 과도한 시험준비부담이 없는 수능을 위해 국어·수학·영어과목에 수준별 시험을 도입하고 탐구과목은 선택과목수를 축소했다고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이재호 교과부 장관은 "그동안 수학은 조금 달랐졌지만 국어와 영어의 경우 모든 수험생에게 동일한 수준의 시험이 제공돼 수험생들이 적성과 역량과 관계없이 필요이상으로 어려운 시험을 볼 수 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즉 A형과 B형의 시험을 제공하기로 했다. B형은 현행 수능 수준을 유지하되 A형은 현행 수능보다 출제범위가 적고 쉬운 시험이 될 것"이라며 "문항출제에 있어서도 교과중심의 출제를 강화하겠다" 고 말했다.
또한 사교육 없이 학교수업을 통해 준비할 수 있는 수능의 일환으로 교과중심의 출제를 강화하고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과 수능에서 출제하는 내용을 일치시킬 계획이다.
그러나 애초 20년 만의 대수술로 불렸던 개편시안과 달리 확정안에서는 수준별 시험과 선택과목 수 축소 외에 변화한 것이 없다는 지적도 있다.
기본영역인 언어·수리·외국어는 교과 중심의 출제를 강화하고자 명칭을 국어·수학·영어로 바꿔 두 가지 수준인 A형과 B형 시험을 제공한다.
B형은 현행 수능 수준이며 A형은 현행 수능보다 범위를 줄여 쉽게 출제하는 유형으로 수험생은 진로와 모집단위에 따라 A·B형을 선택할 수 있지만, 부담이 커지지 않도록 B형은 최대 2과목까지만 응시할 수 있고 국어B와 수학B를 동시에 선택하지 못하도록 제한했다.
예를 들어 인문사회계열 희망자는 국어B-수학A-영어A/B, 이공계열 지망생은 국어A-수학B-영어A/B를 선택할 수 있다.
나머지 하나는 교육과정취지 반영으로 고교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 수능이다.
이러한 취지를 반영해 수능시험의 과목 명칭과 성격을 언어는 국어, 수리는 수학으로, 외국어는 영어로 교육과정과 일치되도록 변경했다.
현재 50문항인 국어와 영어의 경우 문항수가 너무 많아 수험생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는 현장의견을 반영해, 문항수를 5개~10개 정도 감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사회 및 과학탐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변경된 과목을 수능시험의 과목으로 반영했고 수능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선택과목수를 현행 3과목에서 2과목으로 축소했다.
이 방안은 당초 공청회 시안에서 사회를 6과목, 과학을 4과목으로 각각 통합해 딱 1과목만 선택하는 1안이 있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
이어 직업탐구선진화방안으로 17개 과목이었던 것을 5개로 통합하고 1과목만 선택하게 했다.
제2외국어와 한문은 준비 없이 수능에서 빼면 정상적인 교육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어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수능 복수시행은 수능 비중 약화와 수험생 부담 완화 등 여건이 마련될때까지 유보해 현행처럼 1회 시험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주호 장관은 이에 대해 "대다수 수험생이 2회 모두 응시할 것으로 예상돼 수험 부담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2104학년도 수능시험이 잘 정착되기 위해 올해 과목별 문항 수, 응시시간, 배점, 문항형태 등을 발표하고 내년에는 모의평가를 치러 2014학년도 수능에 대비하게 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