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1/01/28/20110128000014_0.jpg)
예를 들어 공이 그린에지부터 3m 떨어진 곳에 있고 그 공은 1/3정도 풀 속에 잠겨 있습니다. 그린은 핀까지 11m이고 처음 5m는 오르막, 그 후 6m는 내리막이라고 가정해봅시다 대부분 가운데를 지나 핀까지의 내리막만 의식해서 띄우려는 샷을 구사하지만(SW, 54, 56, 58, 60도의 웨지 사용) 공이 갑자기 멈추는 상황을 겪어보신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54~60도 웨지는 오르막에 떨어졌을 때에 스핀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내가 기술을 쓸 것인지, 지형을 이용할 것인지 답이 나와야 합니다.
첫 번째, 52도 웨지로 오르막을 맞춰서 힘을 급작스럽게 다운시킨 뒤 내리막을 타게 하는 방법과 두 번째 9번이나 8번 아이언으로 그린 초입부터 범프 앤 런(러닝 어프로치와는 다른 기술이지만 비슷한 원리)을 구사하는 방법, 세 번째로는 58, 60도 웨지로 언덕의 가장 높은 부분이나 그 앞 내리막 시작점을 맞춰 자연스럽게 걸리는 스핀으로 굴러 내려가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제 팁을 한 가지 드린다면, 어떤 경우라도 클럽 선택이 우선이 아닙니다. 볼이 놓인 상황과 핀 위치, 잔디 결을 확인 후 클럽선택(샷 매니지먼트)을 하여야 합니다.
내가 어떤 샷을 할 것인가?, 어떤 클럽으로 가지고 어떤 생각으로 어디에 공을 떨어뜨려 얼마만큼 구르게 할 것인가? 이런 정도의 공략법이 나와야 우리의 최종 목표인 내가 원하는 지점에 공을 갖다놓기가 가능해 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항상 자연은 변화무쌍합니다. 같은 조건의 상황이 생길 수가 없습니다. 특히 필드에서 플레이를 하다보면 엄청 잘 맞은 굿 샷임에도 불구하고 막상 가보면 디봇(Divot)이나, 러프, 오르막, 내리막 등등 내가 원하지 않는 곳에 공이 놓인 경우가 엄청 많으실 겁니다. 이것이 골프의 매력 아닐까요? 항상 같은 조건이 없다는 것. 항상 새로운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 공을 보내기를 원하는 목적지는 저곳인데, 그쪽으로 보내고자 하는 마음이야 굴뚝같지만 원하지 않는 곳으로 공이 갈 때 당장이라도 그만두고 싶은 것이 골프입니다. 그렇다고 골프를 그만 두실 겁니까? 즐기십시오. 어떤 상황이 오더라도 내가 보내고자 하는 방향으로 보내겠다고 생각하고 골프기술에 얽매여 스트레스 받지 마세다. 비록 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 하더라도 자연의 흐름 앞에서 내가 하겠다는 마음이 앞장서는 순간 결코 내가 원하는 지점으로 공을 보내기란 힘들어 질 것입니다.
권오연 멘탈 골프 클리닉 & 아카데미
www.mentalgolfclinic.co.k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