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남북 화해모드 난기류 급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2-10 13:1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정경진 기자) 군사회담을 계기로 화해무드가 조성되는 듯 했던 남북관계가 예비회담이 결렬되면서 난기류에 휩싸이고 있다. 
 
 북측은 군사회담 결렬의 책임을 일방적으로 남측에 전가하면서 비난 성명을 발표하는 등 강경한 자세를 보이는 가운데 우리 정부도 양보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남북관계가 또다시 냉각기로 전환될 여지가 많아졌다.
 
 대북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이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들이려는 상황에서 식량난 등으로 대외원조가 시급한 북한 입장에서는 결국 대화를 선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첫 단추조차 꿰지 못한 남북대화가 언제쯤 정상화될지는 예단키 어려워 보인다.
 
 북한군은 10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성명문을 통해 "남측 군당국이 남북관계 개선을 바라지 않고 대화 자체를 전면 거부하고 있다"면서 "우리 군대와 인민은 더 이상 상종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우리 정부 역시 북측의 태도변화 없이는 대화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남북 군사실무회담 수석대표인 문상균 국방부 북한정책과장은 10일 "우리가 제의한 의제와 수석대표의 급을 동의하면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면서도 "(북한이)어떤 조건을 가지고 제의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남북이 한치 양보없는 대결구도를 조성함에 따라 당분간 군 당국간의 회담은 교착상태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의 격렬한 반응으로 볼 때 군사회담을 포함해 남북 당국 간의 추가회담 가능성은 커 보이지 않는다”며 “다만 현재 미국과 중국 등이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대화를 촉구하고 있는 만큼 숨고르기 과정을 거쳐 회담이 재개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남북대화 재개의 또다른 걸림돌은 양측의 냉각기간이 길어질 경우 상황이 더욱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3월에는 한미 군사훈련(키리졸브)이 예정돼 있고 천안함 1주기(26일)도 돌아오기 때문에 2월을 넘길 경우 군사본회담을 개최하기가 더욱 힘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정부는 북측의 적십자회담 개최 요구에 대해 원칙적인 동의를 밝힌 상태지만 군사회담 결렬의 영향으로 개최 여부도 불투명해졌다. 일각에서는 북측이 군사회담과 적십자회담을 분리해 대화를 제의해 올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한편 여야 정치권은 북측의 책임있는 태도변화와 함께 정부의 '통큰 결단'을 각각 촉구했다.
 
 황진하 한나라당 의원은 "해병뿐 아니라 민간인까지 포격으로 살상시키고 대화를 하자는 것이 무슨 대화의 자세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면서 "진정으로 대화를 하려면 사과나 재발방지 약속을 하면서 자세변화가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서로 인내하고 양보하면서 타협점 찾 았어야 했는데 매우 안타깝다"며 "우리 정부의 통큰 결단으로 남북대화 이뤄져 남북 교류협력 등 관계개선을 통해 북핵문제가 해결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