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한국은행 해외조사실은 ‘차이나모델에 관한 논쟁’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04년 베이징 컨센서스로 개념화된 중국의 독특한 경제발전 방식이 이후 차이나모델로 진화했다”며 “이 방식이 다른 국가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와 지속 가능성 여부에 대해 전문가들 의견이 엇갈린다”고 소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차이나모델의 요소는 △공산당 1당 체제 △국가와 민간의 혼합 소유체제 △철저한 실용주의 △대외적 불간섭주의 등 4가지를 바탕에 두고 있다.
보고서는 “차이나모델은 서구와 본질적으로 다른 통치스타일로 성공적으로 경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개발도상국뿐 아니라 선진국도 배울 가치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한 사례로 중국이 은행의 역할을 `부의 창출자‘가 아닌 실물경제를 뒷받침하는 존재로 한정해 금융위기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점을 들었다.
그러나 보고서는 “차이나모델이 인권, 민주주의, 법질서 준수, 생태계 균형 등 인류가 추구해야 할 보편적 가치와 거리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며 “대부분의 전문가들 견해는 부정적”이라고 소개했다.
또 “이유는 다르지만 중국 정부와 관변학자들은 많은 나라가 차이나모델을 채택하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중국 위협론’이 고조될 것을 우려해 다른 나라의 모방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의 현 모델을 근간으로 고도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견해가 크게 엇갈리고 있다.
보고서는 “중국의 관변학자들은 공공과 민간부문의 상호 균형과 보완, 모든 도전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산당 1당 체제, 고도 산업사회로 진입하는 전환기라는 점을 들어 지속성이 높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보고서에 따르면 서구학자들은 중국의 생산성 하락, 정부 주도 투자에 의존한 성장의 한계,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중의 감소 전망, 정치체제의 불안 가능성을 고려할 때 경제 발전에 한계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고서는 “대다수 전문가는 중국 정부가 부문 간 불균형을 어떻게 해소할지, 국민의 다양한 정치.사회적 요구를 얼마나 수용할지, 국제사회와 어떻게 공존할지가 차이나모델의 지속성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