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전 엄정한 `北UEP 대응' 선행돼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2-13 17: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정부 고위당국자는 13일 북핵 문제 대응과 관련해 "6자회담으로 가기 전에 북한 우라늄농축 프로그램(UEP)에 대한 국제사회의 엄정한 대응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UEP는 심각한 도발이기 때문에 국제사회의 대처가 있어야 6자회담이 성과 있는 회담이 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도발에 대한 대처가 없으면 협상을 하는데 북측에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고 북측으로 하여금 협상을 오.남용하게 하는 결과를 줄 수 있다"며 "도발을 통해 협상을 끌고 가려는 북한의 행동을 용인해서는 협상이 제대로 진행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지난 10∼11일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의 방중에 대해 "중국이 UEP를 유엔 안보리로 가져가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계속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며 "중국과 협의한 내용을 기초로 앞으로도 5자간에, 그리고 미국, 중국, 일본과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위 본부장은 김성환 외교부 장관이 오는 16∼17일 일본을 방문할 때 동행할 예정이고 한.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을 통해 북핵 문제를 협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또 중국이 다음 달 안보리 의장국이 되는 것이 UEP 논의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아무래도 영향이 있을 것이다. 중국이 안보리 의장국이 되면 더 까다롭게 할 수도 있지만 의장이 자기한테 맞춰서만 하기 어렵다는 역설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고위당국자는 이어 "위 본부장의 방중시 우리는 남북대화를 시작으로 북한의 비핵화 진정성을 확인해가면서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여건을 마련해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설명했고 이에 대해 중국 측도 이해를 표시했다"고 전했다.

그는 중국의 식량생산 감소가 대북 지원에 미칠 영향을 두고는 "종래에도 중국이 북한에 대규모 지원을 하지는 않은 것 같다"며 "중국의 식량 감산이 대북지원에 미치는 영향도 그렇게 크지 않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