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까지는 상품수출 기업 보증에 주력했으나, 앞으로는 인프라수출 및 현지투자 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은은 일반 상품수출 기업에 대한 보증을 축소하고, 시너지 창출 및 사업규모가 큰 인프라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김용환 신임 수출입은행장은 지난 7일 취임사에서 "신성장산업의 수출산업화를 최우선적으로 뒷받침하겠다"며 "정책금융기관으로서 국가전략산업의 육성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린플랜트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플랜트 수주경험이 없는 국내 녹색기업에 사업추진 전 과정에 걸쳐 종합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수은이 녹색성장산업 전문금융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행장의 발언은 앞으로 그린·건설·토목·자원개발 등 경쟁력이 높은 인프라 부문에 대한 수출을 늘려 한국경제의 중장기 발전 전략에 토양을 닦겠다는 의미다. 현재 수은이 관심을 두고 있는 지역은 중동과 남미·아프리카 등 아직 개발 여지가 많은 곳들이다.
이를 위해 정부도 상품수출 기업에 대한 일반 지급보증 예산을 줄이고, 해외 수주 활동 확대를 위한 자본금 확충을 벌일 예정이다.
김 행장은 지난 9일 출입기자 상견례에서 "100억 달러 이상의 대형 해외 수주 활동을 지원하려면 자본금 확충이 절실하다"며 "수은법 개정을 통해 수권자본(자본금의 최대 한도)의 규모를 8조원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수은의 보증예산은 지난해 22조원으로 전년의 22조9604억원에 비해 1조원 가까이 축소됐다. 보증예산은 지난 2005년 12조7755억원에서 2006년 13조9432억원, 2007년 20조5202억원, 2008년 30조9869억원으로 가파르게 늘어나다 2009년 들어 급격히 줄어들었다.
김 행장은 취임과 함께 한국경제의 중장기적 성장을 위해서는 수은이 인프라 수출에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청와대의 특명을 받은 것으로도 전해졌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지난 6일 기자간담회에서 투자은행(IB) 육성과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산업은행·정책금융공사·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의 기능재편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도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