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를 갈망하는 아랍권 국가들의 시민혁명 열기 못지않게 우리 국민에 대한 안전대책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의례적인 대책만 내놓았을 뿐 만약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교민피해에 대해 너무 안이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외교통상부는 지난 11일 최근 이집트 등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시위 사태 등 급변사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정세급변지역 비상대책반’을 가동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비상대책반 운영을 통해 매달 1회 재외동포영사국장과 정책기획국장, 각 지역국장 등이 참여하는 정기회의를 열어 국제 정세와 재외국민 안전대책을 점검하기로 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번 사태가 과거의 ‘체제 혁명’과는 다르기 때문에 이들 국가의 대외정책에 급격한 변화가 있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한국과 양자관계 역시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정부의 대책에 대해 교민들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집트 사태 이후 현지 교민들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위터를 통해 한국 대사관의 노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글을 연이어 게재했다.
지난 3일 이집트 교민이라는 한 네트즌은 자신의 트위터에 ‘현재 카이로 공항에서 3일째 노숙 중’이라고 올려 놓은 글이 문제가 제기 되면서 우리 정부의 이집트 교민들의 안전보호 대책에 의구심을 제기하는 여론이 빗발치기도 했다.
그러나 외교부 관계자들은 이런 지적에 대해 교민안전 대책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외교부 재외국민보호과 관계자는 “아직까지 (이집트)주변국들에서의 대규모 우리교민 피해사례는 없다”며 “상황이 악화될 경우 웹사이트나 이메일 또는 전화로 교민들에게 위험지역을 공지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집트 사태 때처럼 본국으로 철수 시키거나 두바이 등의 인근국으로 대비시키는 방법도 있다”면서 “(트위터 내용은) 일부 개인적인 사안이 부풀려진 것일 뿐”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나 정부가 내놓은 안전대책은 지금까지 해외에서 급변상황이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이뤄졌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현재 아랍권 국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해외소요 사태에는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근 이집트 사태로 인해 귀국한 한 재외국민은 “정부의 재외국민 안전대책의 문제는 항상 한 발 늦게 그 효과를 체감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그마저도 여러 나라에서 동시에 소요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얼마나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