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구제역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 최고위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열고 “구제역 매몰지의 환경문제에 대한 언론의 보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과장. 추측성 보도의 지속, 증가에 따라 국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전국 매몰지의 35% 침출수가 이미 유출됐다’는 보도에 대해 “2008~2010년 한국환경공단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AI 매몰지 15개소 중 7개소의 매몰지 경계 5m이내에서는 침출수 유출이 확인됐지만 40~50m 이격한 추가 관측정까지 확산된 경우는 없었고 주변지하수 오염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며 반박했다.
또 가축 매몰지의 병균이 지하수로 퍼질 수 있다는 보도와 관련해서는 “가축매몰지 토양재활용을 위한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AI 매몰지에서 인체에 유해한 병원체가 유출될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고 설명했다.
정 최고위원은 다만 “이번 구제역 발생은 짧은 기간 안에 광범위하게 처리된 만큼 매뉴얼대로 하는데 미흡한 점이 있었다”고 시인한 뒤 “전 매몰지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한 보완.정비와 상수원 상류 등 오염시 파급성이 큰 지역에는 우선조사를 실시해 3월 말까지 보강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구제역 예방의 근본적인 대책으로 ‘축산농가 등록제’를 실시해 이를 위반시 살처분 보상금 지급배제, 금융 및 행정지원 철회 등의 제한을 두도록 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