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국정원, 印尼 특사단 숙소 잠입’ 의혹 파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2-22 16: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장용석 기자) 인도네시아 대통령 특사단 숙소에 잠입한 괴한이 국가정보원 산업보안단원들이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파문이 커지고 있다.
 
 이에 원세훈 국정원장이 이번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이명박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22일 여권 소식통 등에 따르면, 지난 16일 인도네시아 대통령 특사단 일행이 묵고 있던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 객실에 잠입, 노트북컴퓨터 등에 들어있던 정보를 빼내려다 들켜 도망친 남자 2명, 여자 1명 등 3명의 괴한은 김남수 국정원 제3차장 산하 산업보안단 소속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보안단은 국내 산업 정보의 국외 유출을 막고, 또 국익에 민감한 국내외 산업정보를 수집하는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국정원은 아직 이번 사건과 관련해 어떤 공식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지만, 정치권 안팎에선 이미 국정원의 개입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민주당 측 국회 정보위원회 간사인 최재성 의원은 “정치권에서 일부 확인된 얘기를 볼 때 국정원이 한 일이란 덴 이견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도 “정황상 인도네시아와의 방위산업 협력 논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산 T-50 고등훈련기의 수출 문제 등 현안에 대한 사전 정보 수집을 위해 국정원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정부 관계자는 “이번 일이 국정원 등 우리 측 정보기관의 소행이라 해도 해당 기관에서 시인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면서 “인도네시아 측에 대한 경호·경비 활동에서 ‘불미스런 일’에 대해 유감을 표사하는 수준에서 마무리되지 않겠냐”고 예상했다.
 
 “현재로선 양국 모두 더 이상 사건이 커지는 것을 원치 않는 것으로 보인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당시 특사단장 자격으로 방한했던 하타 라자사 인도네시아 경제조정장관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3명의 침입자는 방을 잘못 알고 들어온 호텔 손님들이었다”고 말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청와대도 "이번 사건에 대해선 우리가 말할 게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설령 우리나라와 인도네시아 양국 정부 간엔 일단 이번 사건을 ‘조용히’ 넘긴다 해도 국내 정치적 파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여의도 정가’엔 이번 사건이 국방부와 국정원 간의 과잉 정보경쟁에서 비롯됐다거나 국정원 내·외부의 권력암투와 맞닿아 있다는 등의 시각이 확산되고 있다.
 
 원 국정원장의 경우 이달로 취임 2년째를 맞음에 따라 여권 일각에선 이미 지난해 말부터 교체 가능성이 심심찮게 거론돼왔기 때문이다.
 
 최근 원 원장의 ‘비공개’ 방미 사실이 언론에 공개된 것도 결국 이 같은 분위기와도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일부 언론은 원 원장이 이번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이 대통령에게 사의를 밝혔다고 보도했으나, 국정원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어제(21일)까진 그런 얘길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 정부 시절 국정원장을 지낸 신건 민주당 의원은 “국정원은 특성상 이런 사안에 대해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기 때문에 국회 정보위원회를 열어 명확히 확인해봐야 한다”며 “이번에 실수했다면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정보기관과 직원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작업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진상 또한 철저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