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와 관련해 22일자에서 사우디 아라비아의 임시교사 나이프 알타미미의 생활을 소개했다.
6년전 아랍어 교사자격증을 딴 알타미미는 여전히 교육부의 교사 대기자 명단에 올라 있다. 그는 낮에는 사립학교 임시교사로 일하고 밤에는 택시를 몰지만 여전히 가족을 부양할 수준이 못 되어 그의 부인은 갓난 아기를 데리고 친정에 가 있다.
그는 “나라는 부유한데 나는 무척 가난하다”며 “가족과 함께 살 수 없다는 고통 때문에 더 큰 절망에 빠진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두 달 동안 250명의 교사 대기자들과 함께 교육부 앞에서 시위를 했다. 사우디에서 시위는 불법이지만 그는 불법을 무릅쓸 정도로 일자리를 얻고 싶어한다.
그는 사립학교 교사 연봉의 네 배인 국립학교에 들어가 정년이 보장되는 일자리를 얻는 것을 꿈꾸고 있다.
FT는 일반적인 사우디 국민들은 국가의 오일머니가 국민들에게 즉각적인 혜택으로 되돌아오길 기대한다며 ‘현실과 이상과의 차이’가 크다고 지적했다.
첫 오일‘붐’이 불었던 1970년대 국민들은 안정적인 공공 일자리를 비롯해 여러 복지혜택을 맛본 바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상과 다른 현실로 인해 국민들은 왕정에 회의감을 쏟아내고 있다.
이코노미스트이자 민주화운동가인 모하메드 파드 알콰타니는 “정부의 건강보험 정책은 실패하고 있고, 교육 정책도 실패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권력과 책임을 위임할 정치적 개혁이 즉각 이루어져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이 모든 불만을 다 왕가에 쏟아부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업률은 사우디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지난 2005년 실업률을 3%로 낮추고자 5개년 계획을 마련해 시행했으나 이 기간 동안 실업률은 9~12%라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고공행진하고 있는 실업률은 현재까지 낮아질 기미가 거의 없어 내년에는 10.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잘못된 정책으로 실업자들을 양산했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실업률을 꺾기 위해 대학교를 크게 늘리고 외국인 노동자의 일자리를 제한했다. 이에 따라 수십억달러의 자금이 학교와 대학교를 짓는데 투자됐으나 졸업과 동시에 실업자만 양산했다.
게다가 외국인 노동자를 선호하는 중소기업들은 이같은 정부 정책에 불만이다. 외국인 노동자들의 임금이 더 저렴한데다 고용이 더 유연하기 때문이다.
한 기업체 사장은 “정부가 실패한 교육 정책의 비용을 왜 우리가 내야 하느냐”며 “돈을 벌기 위해 투자하는 것이지 정부의 잘못된 정책을 바로 잡기 위해 투자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울분을 터뜨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