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재계에 따르면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설 연휴 직후 그룹 최고위층에게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과의 화해방법 모색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현대그룹도 이를 받아들이겠다는 취지를 밝힌 것이다.
이날 현대그룹측은 “언론에 보도된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화해협력 제안에 공감한다”면서 “가처분신청을 대법원에 재항고 하려던 계획을 취소하고 현대차그룹으로부터 구체적이고 합의가능한 화해제안이 공식적으로 접수되기를 기다리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그룹도 즉각 화답했다.
정 회장과 현 회장의 ‘갈등’은 현 회장의 남편인 고 정몽헌 회장과 정 회장의 경영권 분쟁이 있던 지난 1998년에 시작됐다.
이후 현대차그룹이 지난 8월 현대건설 인수전 참여를 공식 선언하면서부터 깊어졌다.
현대건설이 현대그룹의 지주회사인 현대상선의 지분 7.8%를 보유하고 있어, 이 지분은 현대그룹의 지배구조를 뒤바꿀 핵폭탄으로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
현 회장은 현재 현대상선 지분(우호지분 포함) 약40%를 보유하고 있다. 반면 현대중공업과 KCC등 범현대가는 31.5%를 보유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현대건설을 인수할 경우 범현대가의 지분율은 40%에 육박해 경영권을 위협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른다. 따라서 현대그룹은 경영권을 보장받기 위해 현대건설을 인수해야만 했던 것이다.
이에 현대그룹은 현대건설 인수전에 ‘사활’을 걸었고 지난해 11월 16일 현대그룹이 현대건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프랑스 나티시스 은행으로 부터 차입한 자금 1조2000억원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며 채권단과 맺은 MOU가 해지됐다.
이후 현대차그룹이 현대건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며 현대그룹이 채권단을 상대로 가처분을 신청하고, 현대차그룹을 상대로 ‘명예훼손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는 등 갈등은 극에 달했다.
따라서 이번 정 회장의 화해 제시에의 핵심은 현대건설이 보유한 현대상선의 지분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달려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직 현대차그룹에서 현대그룹 측에 공식적인 방안을 제시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현대그룹측도 "현대차그룹으로부터 구체적인 제안은 전혀 없었다"고 지적했다.
화해 모드의 최대 분수령은 다음 달 21일 고 정주영 명예회장의 10주기다. 당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추모음악회에는 범현대가가 모두 참여하기로 돼 있어 정 회장과 현 회장이 얼굴을 맞대야 하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