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식 삼성중 사장 “조선산업 성장 한계”…제품경쟁력 강화해야

(아주경제 김지성 기자) “우리 조선산업이 성장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노인식 삼성중공업 사장(사진)은 23일 삼성 강남 타워에서 열린 사장단회의에서 ‘조선산업의 동향과 대응방안’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조선산업의 위기인식을 드러냈다.

노 사장은 이날 “한국 조선업계는 설비확장과 기술혁신으로 세계 조선산업을 주도하고 있다”고 전제했다. 

하지만 그는 “금융위기 후 발주의 감소와 정부 지원을 받는 중국 조선업계의 생산확대로 우리 조선업이 성장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조선업계의 발주량은 최근 몇 년 동안 크게 감소했다. 과거 5년 동안 연평균 1억t의 발주가 이뤄졌던 조선업계는 금융위기 이후 급감해 2009년에는 2800만t, 2010년 7100만t에 머물렀다.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 올해 업계에서 예상하는 발주규모는 5500만t, 글로벌 경기의 회복 추세에도 불구하고 2013년 이후도 6000만~6500만t 수준이다.

선가하락도 조선산업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노 사장은 “2008년 선가를 고점으로 할 때 약 25% 가량 하락했다”고 말했다. 

여기에 중국 등 신흥 국가들이 조선업을 확대하면서 전세계적으로 건조능력은 늘어나고 있어 공급과잉을 피할 수 없는 구조도 우리 조선업 성장에 장애요소이다.

노 사장은 이 같은 환경에서 “삼성중공업은 해양구조물, 특수선 등 기존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사업다각화를 추진하는 것이 대응방안”이라고 설명했다. 고객맞춤형 제품을 개발하고, 미래를 대비한 차세대 신제품 개발도 강조했다.

노 사장은 “기술융복합화 제품 개발로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LNG선과 하역터미널기능을 결합한 선박(LNG FSR) 생산 등에 주목하겠다는 의미다.

또 극지운항용 쇄빙선, 드릴쉽, 심해에서 에너지를 채굴할 수 있는 심해저광산채굴선 등의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는 계획을 밝힌 것이다.

미래 신성장동력 개발과 맞물린 사업 다각화도 주요 대응방안이다.

이와 관련, 노 사장은 “풍력, 태양광 발전 설비 등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노 사장은 "삼성중공업은 현재 수주내정프로젝트 규모만 72억달러로 연간 목표의 63%를 확보해 놓았다"고 밝혔다.  올해 삼성중공업의 수주목표는 115억달러이다.

이에 대해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현재 인수의향서(LOI)를 맺는 등 상담이 진행되는 수주 규모가 72억달러 상당이라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