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 가짜 석유 파는 곳 가장 많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2-23 17: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SK에너지(대표이사 박봉균)가 지난해 유사석유제품을 팔다 당국에 가장 많이 적발된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윤석용 한나라당 의원(보건복지위)이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실 석유산업과로부터 제출받은 ‘유사석유제품 적발실적’ 자료에 따르면 SK에너지는 유사석유제품(휘발유, 경유)을 팔다 226건이나 적발됐다. 이어 S-OIL(205건), 현대오일뱅크(129건), GS칼텍스(124건)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유사석유 제품 총 적발건수는 1045건으로 전년(562건) 보다 46.3%나 급증했다.
 
 지역별로는 경기 지역이 지난해 215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135건), 충북(107건) 순이었다.
 
 정부의 엄격한 규제에도 지난해 적발건수가 급증한 데는 급격한 유류값 상승과 가짜 석유 판매로 얻는 수익에 비해 처벌 강도가 약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판매자는 가짜 휘발유를 팔아 월평균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의 부당 이득을 챙기지만 적발되면 100만-200만원의 벌금형에 그치는 것이 유사석유 판매를 부추긴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대전경찰이 검거한 200억원대 가짜 휘발유 총책 A씨의 경우 최근 법원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지만 제조공장 임대 업주나 운반책 등은 대부분 집행유예로 풀려났다.
 
 특히 유사휘발유 판매 주유소가 상대적으로 싼 가격과 세금 탈루 유혹을 이기지 못해 불법행위를 한 것도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윤 의원은 “정부의 강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불법행위가 계속 늘어나는 것은 가짜 석유 판매조직원들이 지능화, 조직화 되고 있는 것”이라며 “정유 업계의 자정 노력과 동시에 벌금형의 최저액을 규정하여 처벌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석유는 국가 산업 및 서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정부는 불법 유통 근절과 가격 안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SK에너지 관계자는 “석유관리원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전국 유사휘발유 판매 단속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SK에너지의 로고를 달고 유사휘발유 판매 및 유통을 하다 적발될 경우 강력한 경고 조치 및 디브랜딩 작업에 착수하는 등 불법 영업을 막고 있다”고 해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