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유가가 110달러까지 오르자 정유업계도 정기총회를 미루는 등 변동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번 총회에는 석유협회장 선거 등 중요 안건이 걸려 있었다.
정유업계가 주목하는 것은 무엇보다 이달 발표되는 유가 TF(태스크포스팀)의 대책이다. 정부가 가격결정 및 유통구조에 대한 개선안 마련에 고심 중이라, 유가가 오를수록 상황은 더 민감해지고 있다.
이번 대책 논의 과정에는 업계의 참여가 배제돼 궁금증을 더욱 키우고 있다. 이 가운데 사실상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대책은 한계에 다다라 업계가 긴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동안 내놓은 ‘가격공개’, ‘주유소 혼합판매’ 등 대책이 모두 효과가 없어, 추가 방안은 원가공개나 주유소 계약 건과 관련된 보다 민감한 사안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
업계 관계자는 “공정위가 정유사의 ‘원적지 관리’ 조사에 중점을 뒀는데 이번 유가대책도 이 부분에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고 말했다. 원적지 관리는 정유사가 상호간 소속 브랜드 사용 주유소의 원적지를 관리해 주유소의 정유사 거래처 이전 등에 불편을 초래하는 관행을 말한다.
이처럼 규제 압박이 가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유사는 가격 책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원유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지만 제품가에 그 인상분을 반영하기가 눈치가 보인다는 것이다. 정유사는 최근 등유가격을 내리기도 했지만 휘발유와 경유가격 인하 요구도 거세질 전망이다. 이와 관련 “겨울이 다 지난 시점에서 등유가격 인하는 효과가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 불안정한 국제유가와 정부 규제압박 등이 더해지면서 정유업계의 주가는 하락세를 겪고 있다. 정제마진 상승과 더불어 석유화학 등 설비증설 효과로 수익성이 증대되고 있는 업계의 상황을 고려하면 이는 다소 의외다.
현재 원유가격 급등은 중동문제로 인한 공급불안이 원인이라는 점도 불안을 가중시킨다. 지금은 국제 제품가격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지만 결국 수요가 따라주지 못하면 스프레드 마진은 축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