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등 켜진 물가… 기준금리 올릴까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4.5%. 지난 2008년 11월(4.5%) 이후 27개월 만에 최고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당국과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었다.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 상한인 4%를 넘어도 한참 넘었다.

오는 10일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해야 하는 금융통화위원들의 고민도 커졌다.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지난해 11월, 올 1월 두 차례 금리 인상에도 물가는 오히려 상승폭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냥 두자니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을 막을 뾰족한 방법도 없는 실정이다.

◆ 기준금리 인상이 “만병통치약?”

인플레이션 압력이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8월까지만 해도 2%대의 안정적인 상승률을 보이다 9월 3.6%로 급등한 뒤, 10월 4.1%, 11월 3.3%, 12월 3.5%, 올 1월 4.1% 등으로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다.

물가불안이 심상치 않자 한은 금통위는 이 기간 기준금리를 2.25%에서 2.75%로 0.50%포인트 인상했다. 하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오히려 곡선 기울기를 높이고 있다. 현재로서는 통화정책의 약발이 안 통한단 얘기다.

최근의 물가 불안은 △북아프리카·중동지역(MENA)의 정치 소요사태에 따른 유가 불안 △구제역 여파에 의한 축산물 가격 상승 △이상기후·작황부진에 따른 농수산물 공급 감소 △미국·유로존의 유동성 완화(대외변수)에 따른 글로벌 원자재 가격 급등 등 공급 측면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다.

과거 시중 통화량 증가로 상품가격이 오르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동절기 전력수요와 구제역, 기상여건 개선 등으로 상승폭 자체는 축소되겠지만 유가불안·원자재가격 상승 등 대외변수는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농산물은 세계적 기상이변으로 당분간 높은 수준이 계속되고 중동의 정정 불안이 확산될 가능성이 커서 물가는 당분간 안정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그래도 금리 인상 가능성은 높다"

기준금리 인상이 물가 안정을 위한 직접적인 처방은 될 수 없어도 해열제 수준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금리 인상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지난달 소비자들이 느끼는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연 3.7%. 지난 1월에 이어 고공행진을 벌였다.

물가당국인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인플레 기대심리는 다소 완화될 수 있다. 최근 높아진 인플레 기대심리가 실물 경제로 퍼질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필요성도 있다.

지난 1월 기준금리 인상 효과가 조금씩 떨어지고 있는 점도 기준금리 인상 전망의 논거로 꼽힌다.

한은이 지난 1월 기준금리를 2.50%에서 2.75%로 올린 뒤 국고채 5년물 금리는 4.28%에서 지난달 9일 4.51%까지 올랐다. 이후 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되자 하향 안정세로 돌아서며 지난달 28일에는 다시 4.28%로 내려왔다.

금리결정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6개월 정도 지나야 알 수 있지만 1월 기준금리 인상 효과는 이미 끝났다고 판단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최근 물가가 해외의 공급 측면에서 비롯된 만큼 금리 조정을 통해 수요를 억제할 경우 물가는 지속해서 오르는데 경기는 위축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