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13개 주요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평균 74.2%로 집계됐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80%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6개월 만이다.
손해율은 고객이 낸 보험료 중 보험금으로 지급되는 비율로 72%를 손익분기점으로 본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지난해 8월 81.6%를 넘어선 뒤 12월에는 90%를 웃돌았다. 그러나 올 1월 손해율이 84.2%를 기록하고 2월에는 70%대로 떨어지며 하락하고 있다.
이는 계절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차량이 몰려 있는 수도권의 경우 평년보다 기상조건이 양호했다.
또 올 설 연휴기간이 길어 차량 운행이 분산됐으며, 구제역 파동과 고유가도 차량 이동을 제한한 요인으로 꼽힌다.
이번 달에도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2000원이 넘는 고유가 현상이 계속되면서 손해율 하락이 예상된다.
아울러 운전자의 사고 책임을 엄격하게 묻는 자동차보험 제도 개선안이 지난달부터 시행된 것도 손해율 하락에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2월은 계절적 요인이 강해 (손해율 악화라는)전체적인 흐름이 완전히 돌아선 것인지 판단하기는 아직 이르다”며 “이런 흐름이 계속 유지되는지 3개월 정도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