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중국증권보(中国证券报)에 따르면 중국인민은행 부행장겸 국가외화관리국 국장인 이강(易纲)은 중앙은행이 지급준비율과 이자율 조정을 통해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강 부행장은 "통화조절 수단에는 '가격적'수단과 '수량적'수단이 있다"고 지적한뒤 "현재로선 중앙은행이 어떤 수단을 사용할지 딱히 결정된바 없다"고 말했다.
이는 중앙은행이 계속해서 인플레 압력이 높아질 경우 지급준비율과 이자율을 모두 조정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 부행장은 "지급준비율은 수량적 도구로서의 작용을 함과 동시에 '시장적'도구로 자금의 가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중앙은행은 위안화의 국제화에 대해 어떤 정책적 우대 정책도 동원하지 있고 않다"며 "위안화의 국제화 과정은 시장주체들의 선택에 따라 흘러가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현재 중국 중앙은행은 위완화에 대한 각종 제한 조치를 철폐했기 때문에 중국과 협력사업을 전개하는 기업들은 위안화를 달러·유로·엔화와 같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며 "이 같은 거래는 위안화의 국제화에도 유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