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한나라당은 현 정부의 방송통신 정책 일관성 차원에서 최 위원장의 연임을 주장한 반면, 민주당은 방통위의 역할부재를 거론하며 연임불가론을 폈다.
한나라당 이경재 의원은 “최 위원장이 그동안 통신료 인하에 노력해왔고 종편을 비롯한 난제를 정리하는 데 역할을 했다”고 말했고, 강승규 의원은 방송통신 융합, 콘텐츠 경쟁력 강화 등을 방통위의 공으로 꼽으며 방송통신 정책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당부했다.
하지만 민주당 정장선 의원은 “정권을 위해 악역을 맡은 분과 수습하는 분은 달라야 한다”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고, 최종원 의원은 “지난 3년 방통위의 점수는 100점 만점에 30점이며, 방송장악을 위한 책략이 성공해 공이 높으니 이제 물러나는 게 어떻겠느냐”고 꼬집었다.
또 민주당 장병완 의원이 “선발투수와 구원투수의 역할이 다르다”며 2기 방통위원장 교체를 주장하자, 한나라당 안형환 의원은 “완투하는 투수도 있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최 위원장은 “종편 출범에 따른 미디어 시장의 작용.부작용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방송광고 시장 변화, 통신료 인하 문제 등 현안이 산적, 이를 매듭지을 필요가 있고 제가 적합하다고 (임명권자가) 판단하셨을 것”이라며 야당의 자진 사퇴 압박에 맞섰다.
한편 이 자리에서는 지난 2009년 7.7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DDoS) 대란에 이어 최근에도 디도스 공격이 발생한 데 따른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함께 통신료 인하를 위한 방통위의 지속적인 노력을 당부하는 여야 의원들의 목소리가 잇따랐다.
최 위원장은 최근 디도스 공격에 대해 “사이버 전쟁으로 봐야 한다”며 적극적인 대처 의지를 거듭 밝혔고, 통신료 인하 여지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다소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