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비핵화 생각만 있다면 1~2년치 양식을 거뜬히 해결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핵 등 남을 해치고 지역평화를 교란할 수 있는 능력을 늘리면서 식량을 공짜로 받아내려고 하는데 지원하는 건 조금 어렵지 않겠냐”고 말했다.
특히 그는 민간단체의 인도적 지원 문제에 대해서도 “인도적 사안과 정치·안보적 사안을 직접 연결하는 건 아니지만, 지난해 서해 연평도 포격 도발 등이 있었는데도 아무 일도 없었던 듯 재개하는 건 좀 그렇다”면서 “언젠간 지원을 재개해야겠지만, 현재로선 시기나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그는 미국 정부가 지난 2008년 북한에 지원을 약속했던 쌀 50만t 가운데 미집행된 33만t의 공급을 올해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데 대해선 “미국도 북한의 식량사정이 정말 어려운지 의심하고 있다”며 “식량지원에 관해선 한·미간엔 이견이 없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내년(2012년)에 북한이 ‘강성대국 개막’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들어 “‘잔치용’ 식량 때문에 국내 배급을 조절할 수도 있다”며 “정확한 실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