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관리공단은 13일 “지난 2년간(2009년-2010년) 계룡산, 속리산 등 12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연구한 결과, 연간 2조1533억 원의 경제효과와 2만1648명의 고용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공단 국립공원연구원이 지리산, 설악산, 북한산, 경주, 한려해상, 태안해안, 계룡산, 속리산, 내장산, 다도해해상, 변산반도, 월출산을 대상으로 생산, 소득, 부가가치, 고용파급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연구결과 12개 국립공원은 연간 1조2952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2335억원의 소득유발효과, 6246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2만1648명의 고용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지역산업 연관분석(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모델을 이용해 공원별 탐방객 여행비용 조사, 한국은행이 발간한 지역산업 연관표에서 지역별 승수도출, 경제유발효과 평가 순으로 분석했다.
공원별 설문조사 표본크기는 400명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9%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