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센터를 위탁·운영 중인 오산시시설관리공단(이하 공단)이 이용자들을 회원제와 일일 이용객으로 나눠 시설물 사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드러나 '형평성' 논란까지 빚고 있다.
14일 시에 따르면 445억원 사업비로 오산동 40번지 7만1209㎡에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로 종합 스포츠센터를 개관, 지난해 5월18일 문을 열었다.
이곳에는 국제규격(50m 10레인)을 갖춘 실내수영장과 유아풀장, 암벽 등반장, 실내체육관, 에어로빅장, 헬스장 등이 운영 중이다.
현재 수영장에는 2200여명 회원이 항시 방문해, 일일 1300여명이 센터 내 수영장을 이용 중이다.
하지만 정기 회원권을 끊지 않은 초교 학생과 유아 등이 수영장을 이용치 못해 지역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국제규격을 갖춘 수영장에는 안전요원이 항시 2명이 배치·운영 중이다.
공단 한 관계자는 "일일권의 경우 평일은 안돼지만 주말은 12시 이후 보호자와 함께 수영장 이용이 가능하다"며 "이같이 수영장 이용을 제한하는 것은 회원권의 경우 교육을 받고 자기 신체에 맞는 수영장을 이용, 안전에 문제가 없지만 일일권 학생들의 경우 관리자가 따로 없어 안전에 대한 문제가 뒤따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공단측 주장에 시민들의 반발은 크다.
시민 심모(37·원동)씨는 "초등학교 12·7살 두 자녀와 함께 수영장을 이용키 위해 센터를 방문했다가 큰 낭패를 봤다"면서 "똑같은 세금을 내는 지역민들을 정기권과 일일권으로 나눠 차별 운영한다는 것은 오산시가 시민들을 상·하위층으로 나눠 편의주의적 행정을 펼친다고 보는 것이 맞지 않겠냐"고 지적했다.
또다른 학부모 유모(33·여·중앙동)씨도 "자녀가 수영장에 가고 싶어해 일일권 요금을 줘 보냈는데 혼자 울면서 집으로 되돌아왔다"며 "같이 수영장에 간 친구들은 정기권이 있어 입장이 됐지만 내 자녀만 일일권 입장이 안돼 집으로 되돌아 온 꼴"이라고 울분을 토했다.
유씨는 "시민·학생간 생활 격차를 내 운영하는 오산시 수영장이 다시 없어졌으면 이같은 처참한 기분은 들지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