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금 물가상승의 주된 요인은 공급측면에 있다. 기후변화나 세계 에너지·자원 문제 등 근본적으로 수급 문제에서 빚어지는 것이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이 물가상승에 대해 "불가항력"이라거나 "비욘드 컨트롤(beyond control, 통제 밖)"이라고 표현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다만 이 관계자는 “그럼에도 서민 생활물가 안정은 국민에 대한 정부의 의무란 점에서 모든 수단을 강구해 챙기고 있다”며 “그러나 그렇게 해도 (정부 노력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은 국민이 소비를 조정하고 에너지도 절약하면서 정부와 같이 어려운 국면을 타개해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일부 경제부처 장관들이 물가문제를 소홀히 하고 있다’는 세간의 지적과 관련해선 “다른 현안이 겹쳐서 부각이 덜 돼서 그렇지 물가문제를 소홀히 보진 않는다”며 “물가안정은 어느 정부든 중산·서민층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이다. (물가문제를) 소홀히 하는 건 정부의 기본임무를 게을리 하는 거고, 그런 정부는 없다”고 단언했다.
특히 그는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국회 답변과정에서 물가문제에 대한 질책을 받고 “이젠 짐을 내려놓고 싶다”고 답해 사퇴의사를 내비친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데 대해서도 “‘무거운 짐’이라고 생각하는 자체가 정말 이 문제가 위중하고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 아니겠냐”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더불어 최근 정부의 거시경제정책 기조 변경 논란에 대해서도 “우리가 ‘(경제)성장률 5%’를 (목표로) 한다고 해서 물가를 덜 챙기는 게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성장을 완전히 포기하고 물가(문제)에만 치중하는 것도 아니다”면서 “지금은 정부가 그간 정상적인 상황에서 동원하지 않았던 수단을 통해서라도 물가 부담을 완화할 방안은 없는가 하는 차원에서 비상한 각오로 물가를 챙기라고 강조하는 거다”고 답했다.
한편 이 관계자는 ‘구제역 파동’에 관한 물음엔 “(구제역은) 상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다. 다만 이번엔 그동안(의 구제역 발병 때)보다 엄청난 파동을 겪으면서 우리가 좀 더 고려해야 했을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난 거다”며 “보완할 부분은 보완하고 잘못된 건 과감히 개선해 이번처럼 구제역 때문에 장시간 많은 비용을 들이는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구제역이) 새로 발병하거나 확산되기보다는 좀 수습되는 국면으로 보고 있다”며 “농림수산식품부 장관도 축산발전을 위한 새로운 대책이나 개선대책을 준비 중이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