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구 신내동에 개원하는 서울의료원은 부지 3만8139㎡에 지하 4층~지상 13층 623병상 규모다. 지난 2년 10개월간의 공사를 마치고 오는 25일 첫 진료를 시작한다.
연면적 9만9909㎡ 규모의 신내동 서울의료원은 삼성동 서울의료원보다 3.6배 규모가 늘어났다.
서울시는 상대적으로 공공의료 서비스가 부족한 강북에 균형있는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의료원 이전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시는 서울의료원 이전으로 동북권 인구 중 특히 저소득층이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축병원에는 한 번의 촬영으로 전신의 암 발생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PET-CT, 최신의 3.0T MRI, 128채널 CT 등 최신 장비를 도입해 기존의 낙후된 시설을 개선했다.
또 심혈관센터, 뇌혈관센터, 아토피·천식센터, 응급의료센터, 건강증진센터, 재활의학센터,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암센터 등 총 8개 전문진료센터를 운영해 차별화되고 전문화된 의료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미래맘가임클리닉(인공수정·체외수정 진료)을 신설해 의료서비스의 전문성을 높였다.
또 전체병상 대비 다인병상 비율을 82%(총 490병상)로 마련해 시민들의 입원 의료비 부담을 최소화 했다.
한편 서울시는 기존 강남구 삼성동 171-1 부지의 병원 본관동 우측 1~3층에 '서울의료원 강남분원'을 한시적으로 운영해 동남권 지역의 저소득층 시민의 공공의료접근성에 불편이 없도록 할 예정이다.
유병욱 서울의료원장은 "시 산하병원과 진료연계 인프라 체계를 구축해 서울시 대표 공공의료기관으로 탈바꿈 할 것"이라며 "또 강남북 공공의료 격차해소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