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농진청, 유해물질 함유 폐목재 톱밥 '분석법' 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3-15 13: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금지된 폐목재 이용한 불법 '톱밥' 꼼짝마!

(아주경제 김장중 기자)불법 폐목재에서 생산된 톱밥 유통이 '뿌리째' 뽑힌다.

15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퇴비의 수분조절제로 사용되는 톱밥 가운데 유해물질이 들어 있어 사용이 금지된 폐목재 톱밥을 신속하게 구분할 수 있는 분석법이 최초 개발됐다고 밝혔다.

농진청은 톱밥에 들어있는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 함량을 신속하게 분석, 퇴비 원료로 사용이 가능한지를 구분하는 분석법을 내놨다.

밀폐용기에 톱밥을 넣고 70℃로 가열·포름알데히드를 포집한 다음 이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포름알데히드가 1ml당 1ppm 이상일 경우 사용 금지 톱밥으로, 그 이하면 사용 가능 톱밥으로 구별케 된다.

수피나 소나무, 오동나무 등을 이용한 천연 톱밥에서는 최대 0.62ppm이, 접착제를 사용한 공목재인 MDF(중밀도섬유판)·HDF(고밀도섬유판)· 파티클보드·합판 등 폐목재 톱밥에서는 포름알데히드가 1ppm이 훨씬 넘는 1.31~3.71ppm이 검출돼 사용 불가 판정을 받았다.

특히 이번 분석법은 기존 방식과 달라 간단한 측정 도구를 이용해 현장에서 바로 유해물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농진청 최근형 유해화학과 연구사는 "유해물질이 있어 사용이 금지된 폐목재 톱밥은 그동안 눈으로 구별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이 방법을 통해 퇴비 제조현장에서 불법 퇴비 원료 사용을 예방케 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