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형 통상교섭조정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한·페루 FTA를 계기로 앞으로 두 나라의 경제·통상 협력이 강화되고, 우리 기업의 대(對)페루 에너지·자원 투자의 안정적인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2009년 3월 1차 협상을 개시한 한·페루 FTA는 지난해 8월 협상이 타결돼 같은해 11월 양측 통상장관이 서울에서 가서명했다.
페루는 우리나라가 8번째로 FTA를 체결하는 나라로, 남미 지역에서는 한·칠레 FTA에 이어 두번째다.
우리나라는 현재 칠레, 싱가포르,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아세안, 인도, 미국, 유럽연합(EU)과 FTA를 체결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와 페루와의 무역규모는 19억8000만달러(수출 9억4000만달러, 수입 10억4000만달러)로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기계·컴퓨터·플라스틱 등이며 수입품은 광석·석유·석탄·커피·어류 등이다.
우리나라의 대페루 직접투자는 1994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93건, 15억 6000만달러로, 광물·에너지 분야에 주로 투자됐다.
통상교섭본부는 국회 비준동의 요청 등 후속조치를 조속히 진행할 예정이고, 서명 후 협정문 영문본 및 한글본을 외교부 자유무역협정 홈페이지(www.fta.go.kr)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글본 번역 오류와 관련된 의견은 22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같은 사이트에서 접수해 번역 오류가 발견되면 양국 간 협의를 통해 수정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