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진> 日 대지진 럭셔리업계도 강타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일본을 강타한 대지진이 세계 경기 회복세를 타고 승승장구하던 명품업체들을 위협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 일본 지진 사태 이후 명품업체들의 주가가 곤두박질치고 있다며, 이는 갑자기 불거진 악재가 업계 판도에 미치는 영향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주요 명품업체 주가 하락률(3월 11~15일/출처:WSJ)
지난 11일 일본 동북부 해저에서 9.0 규모의 강진이 발생한 이후 전날까지 세계적인 명품업체들의 주가는 최대 5% 이상 급락했다.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돼 있는 명품 보석업체 티파니는 같은 기간 5.3% 떨어졌고, 영국 런던증시의 코치와 버버리그룹은 각각 5.3%, 4.3% 빠졌다.

프랑스 파리증시의 에르메스인터내셔널과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도 각각 3.1%씩 하락했다.

일본의 대지진 사태가 럭셔리업계를 강타한 것은 글로벌 명품시장에서 일본의 비중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투자중개업체 MF글로벌에 따르면 일본의 명품시장 점유율은 23%로 미국과 유럽(각각 25%)에 비해서는 비중이 작지만 중국(13%)보다 크다.

MF글로벌은 "강진으로 일본 소비자들의 소비심리가 크게 약화돼 명품 옷과 보석, 화장품 업체들이 매출에 상당한 타격을 받게 됐다"며 "지진 피해와 전기 부족 등으로 백화점을 비롯한 일본 명품 소매업체들의 영업도 차질을 빚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WSJ는 앞서 2001년 미국 뉴욕에서 9·11테러가 발생했을 때도 소비심리가 급격히 악화돼 명품업체들이 타격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티파니의 경우 9·11테러가 일어난 같은해 3분기 미국 내 매출이 19%나 급감했다는 것이다. 코치와 에르메스도 같은 기간 미국시장 매출이 5분의 1로 줄었다.

WSJ는 이번 사태를 기회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2년여 사이 크게 오른 주가를 맹신하지 말고 현실을 직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