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최대 정유회사인 JX NOE(JX니폰오일 앤 에너지)를 비롯해 지진피해를 입은 정유업체들이 국내 정유 4사에 개별적인 지원요청을 해왔다.
일본 업체들이 제안하고 있는 것은 기존 중동 등과 계약된 원유 수입물량을 국내 업체들이 처리해 달라는 것이다. 지진피해로 정유시설이 타격을 입어 계약물량을 처리할 수 없게 됐기 때문. 또한 현지 공급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석유제품을 공급해 달라는 요청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요청에 따라 국내 정유사들은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GS칼텍스 관계자는 “허동수 GS칼텍스 회장이 지난 14일 일본의 쇼와쉘, 미쓰이케미칼 등 주요 거래선과 협력업체에 위로의 서신을 보냈는데 이에 대해 일본 회사들로부터 감사의 답장이 도착했고, 그 중 JX NOE의 기무라 사장으로부터는 ‘대지진으로 인해 현재 원활한 석유제품 수급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GS칼텍스의 전폭적인 지원과 도움을 요청한다’라는 친서를 접수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이 관계자는 “JX NOE사는 오늘(16일) 가능한 최대 물량의 휘발유와 납사, 등유, 경유 및 항공유 등 약 100만~150만 배럴의 물량을 최대한 빠른 시일 내 공급해 줄 것을 요청했으며, 미쓰비시 등 일본 무역회사에서도 석유제품 공급 가능여부를 문의하고 있다”면서 “적극적으로 지원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실제로 일본 JX에너지에 대한 지원에 나섰다. SK이노베이션은 JX에너지의 동북지역 정유공장에 투입 예정이었으나 공장 가동 중단으로 처리 부담이 되던 중동 원유 2백만 배럴을 구매하기로 한 데 이어 추가적인 원유 구매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생산 차질로 일본 내 주유소에서 인당 판매물량을 제한하는 등 공급 부족이 계속되는 상황을 고려해 SK이노베이션은 JX에너지에 휘발유 26만 배럴을 최우선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S-OIL 관계자도 “도와줄 수 있는 방안이 있으면 적극 도와준다는 방침을 세워 놓고 있다”면서 “기존에 경질유를 일본에 수출해왔기 때문에 절차가 익숙해 지원하는 것엔 전혀 문제가 없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일본 원전이 망가져 화력발전으로 대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여기에 필요한 연료유 수요가 늘고 있고, 정유공장이 훼손돼 현지에 필요한 휘발유, 난방유 등이 부족해 한국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느냐는 문의가 들어오고 있는 것 같다”면서 “다만 수급계획이 다 세워져 있어 이런 예외적인 경우에 대해서 도움을 주는 데 한계가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