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생특위 전체회의에 참석, 민주당 박영선 의원이 “정부가 구제역 발생 원인을 베트남에 다녀온 축산농 때문이라고 밝혔지만, 국제표준 연구소에 의뢰한 바이러스 표본을 보면 베트남 바이러스가 아니라고 했다”며 구제역 원인에 대한 의문점을 지적하자 이같이 답했다.
이어 유 장관은 백신 접종이 늦은 이유에 대해 “백신 문제는 불가피한 경우에 해야 하며 고도의 전문적 판단을 해야 한다”면서 “이번에도 수차례 전문가 회의를 열었지만 (백신 접종에) 부정적이었다. 당시 상황에서 최선을 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민생특위는 이날 회의에서 농림식품수산부와 환경부, 행정안전부를 상대로 구제역 대책 부실과 매몰지 침출수를 비롯한 환경 문제를 추궁했다.
특히 여야 의원들은 이날 회의에서 정부가 전국의 소·돼지 살처분 매몰지 4300여곳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였음에도, 제대로 된 자료조차 제출하지 않고 있다며 관계 부처의 무성의한 태도를 질타했다.
한나라당 강명순 의원은 “매몰지에 대한 사전 환경타당성 조사를 하고, 지침대로만 했어도 환경문제가 최소화됐을 것”이라며 “매년 발생하는 구제역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체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이용섭 의원은 “이번 구제역 대란은 정부의 총체적 부실 대응으로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은 셈이 됐다”면서 ‘구제역 국정조사’를 요구했다. 그는 “구제역 대책으로 축산농가를 비롯한 직.간접 피해자에 대한 신속한 보상과 매몰지역 상수도 설치, 붕괴된 축산업 살리기를 위한 기반 구축 등이 필요하다”면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